논문 상세보기

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공원이용행태 이해와 관계성 분석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An Understanding and Relatedness of migrant women’s Acculturative Stress and Park Use Characteristic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971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휴양및경관연구 (Journal of Recreation and Landscape)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Institute of Recreation and Landscape Planning)
초록

지속적인 이주여성의 증가 전망과 함께 국내에서도 이주여성을 위한 정책적, 복지적 차원에서 다양하게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사회적 노력에도 불구하고 이주여성에 대한 전반적 차별은 여전히 개선이 필요한 문제이다. 더욱이 이주여성은 문화적응 과정에서 다양한 어려움을 겪으며, 문화적응 스트레스 상황에 마주하게 된다. 반면 도시공원은 정신건강 회복으로 큰 관심을 끌고 있다. 도시공원은 스트레스 해소 기능과 더불어 건강한 삶 제공, 삶의 질 개선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하지만 이주여성의 정신건강 및 문화적응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공원녹지이용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1)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공원이용행태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고 2)문화적응 스트레스와 공원이용행태 간의 관계를 분석 3)문화적응 스트레스 해소와 이주여성의 적극적 공원이용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1)문헌고찰을 통해 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공원이용행태에 대한 이론고찰을 진행 2)이주민 커뮤니티의 도움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3)수집된 자료는 통계분석프로그램 SPSS26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1)문화적응 스트레스는 향수병, 문화충격, 지각된 적대감, 지각된 차별감, 죄책감, 두려움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공원이용행태는 방문빈도는 한 달에 1-2번, 머무르는 시간은 30분-1시간, 접근성은 10분 미만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접근성에서 다음으로 높은 응답이 40분 이상으로 공원접근성이 좋다고 판단할 수 없었다. 2)인구통계학적 특성과 공원이용행태를 교차분석 결과 혼인상태, 결혼기간에 따라 공원이용행태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3)상관분석결과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타인의 시선과 프로그램 참여에 두려움을 느낀다고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공원녹지 커뮤니티 활성화를 통해 공원형평성 및 이주여성의 공원이용을 도모를 시사하며, 이를 통한 문화적응 스트레스 감소 및 역량강화 등의 긍정적 측면을 강조하였다.

The rapid increase of marriage migrant women in Korea has brought about social issues and their intangible difficulties in relation to adapting to Korean society. They also seriously face acculturative stress due to various difficulties. Alternatively recently urban parks have produced great attention as a recovery of mental health, as well as play a crucial role in providing healthy lives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along with stress-relieving functions. However, the related studies on the use of park green areas for mental health of migrant women has been not enough. Therefore, this study challenges to 1) understand the perception of migrant women's acculturative stress and park use behaviour, 2) analyse the correlation between acculturative stress and park use behaviour, and 3) present implications for acculturative stress and active park use of migrant women. As for the research method, 1) a theoretical review of the acculturative stress and park use behavior of migrant women was conducted through literature review, 2)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the help of the migrant community to collect data. 3)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tatistical analysis program SPSS26. As a result of the study, 1) acculturative stress was mainly caused by homesickness, followed by culture shock, perceived discrimination, fear. 2) cross-analysis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park usage behavior show that significant results were found in education-use time, education-use activity, marital status-stay time, marital status-use time, and marriage period-use activity. 3) the correlation analysis reveals that significant values were found in all areas of acculturative stress in the two issues: fear of other users and fear of participating in the programme. To sum up, there is a large correlation between acculturative stress and discrimination. Concluding remarks are this study suggests that park equity and the use of parks by immigrant women should be promoted through the revitalisation of the involvement in park and green space community, and emphasised the positive aspects of reducing stress on cultural adaptation through the activation of park use by immigrant women.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1. 서론
2. 이론고찰
    2.1 문화적응
    2.2 문화적응 스트레스
3. 연구방법
    3.1 연구대상 및 분석
    3.2 정의 및 측정도구
4. 결과 및 고찰
    4.1 표본의 속성
    4.2 응답자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공원이용행태에대한 인식 분석
    4.3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공원이용인식의 관계성 분석
    4.4 시사점 및 고찰
5. 결론
References
저자
  • 최선경(국립목포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Seongyeong Choi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Mokpo National University)
  • 남진보(국립목포대학교 조경학과) | Jinvo Nam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Mokpo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og Author
  • 조민영(국립목포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Minyeong Cho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Mokpo National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