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대한민국 반세기 연구개발정책의 변천 KCI 등재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983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700원
기술혁신연구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기술경영경제학회 (The Korea Society for Innovation Management & Economics)
초록

본 챕터는 과거 50년 연구개발정책의 역사를 돌이켜보면서 한국 산업과 경제의 성장과정에서 연구개발정책이 어떤 역할을 수행했는가를 조명한다. 1960년 초 경제개발 5개년계획을 추진하기 시작하던 때부터 1970년 대 말까지 연구기반 구축기, 1981년부터 2000년까지 연구역량 축적기, 2001년부터 2020년 현재까지 연구개발 도약기 등 3단계로 나눠서 살펴본다. 연구기반 구축기간 중에는 연구개발 투자의 증가와 함께 본격적인 연구와 우수 연구 인력을 양성하기 위하여 여러 국책연구기관을 설립하였으며 연구 단지를 조성하는 등 연구기반을 구축하는 정책을 추진하였다. 다양한 분야의 전문 연구기관의 설립 필요성이 제기되자 주요 분야 연구조직을 KIST 부설 형태로 발족한 후 독립 연구기관으로 분리하는 것이 주요 정책이었다. 연구역량 축적기에는 정부가 연구개발 사업을 기획하여 추진하였고 1990년대에 이르러서는 대학의 연구 잠재력을 조직화함으로써 연구역량을 축적하였다. 수출 고도화와 수출시장에서의 경쟁력을 향상해야 하는 기업들의 절박한 기술혁신의 필요성에 기인하여 기업의 연구개발 투자가 급속도로 증가했다. 2000년대에 이르러서는 우리나라 연구개발투자가 절대규모에서도 세계 5위국으로 부상했고, GDP대비 연구개발투자 비중에서는 세계 최고 수준에 도달했다. 이렇듯 연구기반 구축기, 연구역량 축적기, 연구개발 도약기를 거치면서 우리나라는 매 20여년의 주기로 연구개발 시스템을 시대 상황에 맞도록 정책을 혁신하여 추진함으로써 오늘에 이르렀다. 과학기술의 혁신은 산업과 기업의 성장에 결정적인 기여를 하였다. 정부의 도전적인 연구개발 투자는 정밀한 정책 기획과 추진이 병행되면서 그 효과가 발휘되었고 산업과 기업의 성장을 견인할 수 있었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 론
Ⅱ. 연구기반 구축기(1961∼1980)의 연구개발 정책
    1. 주요 사건과 환경 변화
    2. 연구개발 조직의 설립과 육성
    3. 연구단지 건설
    4. 연구개발 자원의 확충
Ⅲ. 연구역량 축적기(1981∼2000)의 연구개발 정책
    1. 주요 사건과 환경 변화
    2. 연구기관 구조조정과 투자 확대
    3. 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추진
    4. 기초연구 진흥과 대학연구조직 육성
    5. 민간부문 연구개발 투자와 기업 부설 연구조직의 확대
Ⅳ. 연구개발 도약기(2001∼2020)의 연구개발 정책
    1. 주요 사건과 환경 변화
    2. 세계최고수준의 연구개발 투자와 인적 자원 확보
    3. 연구 자율성 확보와 창의적 연구 진흥
    4. 연구개발 성과 활용과 확산 강화
    5. 글로벌 톱 수준의 기업 연구개발 투자
Ⅴ. 종합 및 시사점
참 고 문 헌
저자
  • 이공래(기술경영경제학회 제15대(2005.7∼2006.6) 회장, 전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전 대구경북과학기술원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