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혁신성장 측정에 관한 연구: 성장회계모형 vs 슘페테리안 기술변화 모형 KCI 등재

A New way of the Measuring of Innovative Growth: Growth Accounting Model vs Schumpeterian Technological Change Model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983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9,600원
기술혁신연구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기술경영경제학회 (The Korea Society for Innovation Management & Economics)
초록

본 논문은 Schumpeter의 기술변화 3단계 개념에 기초해서 기술진보가 실질 경제성장에 기여하는 정도를 측정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한다. 통계청 광업제조업조사 마이크로데이터를 이용해서 2003-2018년 기간 동안 기술진보의 실질 성장기여 정도를 총요소 생산성 성장률(성장회계방법), R&D투자 기여율, 슘페테리안 혁신성장률로 각각 측정하고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장회계의 총요소생산성 성장률과 슘페테리안 혁신 성장률에 의한 기술진보의 실질 성장기여에 대한 측정에서 상반된 결과를 나타낸다. 둘째, 생산성장률이 감소추세에 있으면 증가추세에 있을 때와 비교해서 생산성장률과 총요소생산 성성장률 차이가 커지고, 반대로 증가추세에 있으면 감소추세에 있을 때와 비교에서 생산성 장률과 총요소생산성성장률의 차이가 작아진다. 셋째, 혁신성장률에 영향을 미치는 기술기회, 즉, 어느 한 분야의 연구개발과 그 인접분야까지의 연구개발 유인이 혁신성장에 미치는 기여도는 3.3%에 불과하다. 이 결과가 기존의 기술진보의 성장기여에 대한 인식과 다른 이유는 기술 진보라는 동일한 용어를 측정하면서 서로 다른 실체를 측정하고 있는 것에 기인한다. 따라서 총요소생산성 성장률은 거시적 경제효율성, R&D투자는 신기술공급의 효과성, 슘페테리안 혁신성장률은 기술진보의 경제적 영향을 측정하는 데 사용해야 한다. 본 논문 연구 결과의 정책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① 기술공급일변도의 정책에서 기술공급과 신기술수요지원의 융합정책으로 전환, ② 임무지향형 R&D 정책과 국가 R&D와 민간 R&D가 연계되는 R&D 정책, ③ 신지식체화 정도를 반영한 자본재의 재분류.

This paper provides a new method of measuring the degree of technological progress which contributes to real economic growth based on Schumpeter's Trilogy. Using Microdata of Statistics Korea, the results of measuring and comparing the actual growth contribution of technological progress during the period 2003-2018 by the total factor productivity growth rate(growth accounting method), the R&D investment contribution rate, and the Schumpeterian innovation growth rate, respectively are as follows. First, the measurement of the real growth contribution of technological progress by the growth rate of total factor productivity and the growth rate of Schumpeterian innovation shows contradictory results. Second, when the growth rate of production is in a decreasing tre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growth rate of production and the growth rate of total factor productivity increases compared to when it is in an increasing trend. Conversely, when there is an increasing tre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growth rate of production and the growth rate of total factor productivity becomes smaller compared to when it is in a decreasing trend.. Third, the technological opportunity that affects the innovation growth rate, i.e., the contribution of R&D incentives to innovative growth is only 3.3%. The reason why this result i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perception of the contribution of technological progress to growth is that different entities are being measured while measuring the same term of technological progress. Therefore, the growth rate of total factor productivity should be used to measure macroeconomic efficiency, R&D investment should be used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new technology supply, and the Schumpeterian innovation rate should be used to measure the economic impact of technological progress. The policy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results of this thesis are as follows: ① Transition from a policy of one-sided technology supply to a policy of convergence of technology supply and new technology demand support, ② Mission-oriented R&D policy and R&D policy that links national R&D with private R&D, ③ Reclassification of capital goods reflecting the degree of new knowledge.

목차
국문초록
Abstract
I. 서 론
Ⅱ. 성장회계방법에 의한 혁신성장률 측정
    1. 성장회계방법론과 혁신성장률
    2. 실증분석
Ⅲ. Schumpeterian 기술변화모형에 의한 혁신성장률측정방법
    1. 성장회계방법에 의한 혁신성장(률) 추정의 문제점
    2. 혁신성장측정의 대안 : Schumpeterian 기술변화모형
    3. 실증분석
    4. 슘페테리안 기술변화모형에 의한 혁신성장률 측정과 비교평가
Ⅳ. 결론과 정책적 함의
참 고 문 헌
부 록
저자
  • 권명중(연세대학교 미래캠퍼스 글로벌창의융합대학 경제학과 교수) | Myung-Joong Kwon Corresponding author
  • 조상혁(연세대학교 미래캠퍼스 글로벌창의융합대학 경제학과 강사) | Sang-Hyuk Cho
  • 윤미경(가톨릭대학교 국제학부 교수) | Mikyung Y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