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자연치유산업 종사자가 지각하는 직업 전문성과 웰니스에 대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KCI 등재후보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on Job Expertise and Wellness Perceived by Workers in the Natural Healing Industr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989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800원
자연치유연구 (The Journal of Natural Healing)
초록

본 연구는 자연치유산업에 종사하는 관리자를 대상으로 하여 직업 전문성과 웰 니스에 대한 직무만족의 매개 효과에 대해 다차원적인 관계를 규명하고자 실시하 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측정 도구는 직업 전문성 변인의 하위 요인이 6개 요 인, 직무만족 변인의 하위요인이 5개, 웰니스 변인의 하위 요인이 5개로 구성되었 으며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을 실시하여 사용하였다. 자연치유산업 종사자가 지각하는 직업 전문성과 직무만족 및 웰리스 변인의 경로적 영향 관계의 타당성 검증 하기 위해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한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로 잠재변 수 간의 경로계수 분석에서 직업 전문성 변인과 직무만족 변인은 통계적으로 유 의미한 정적인 영향의 결과로 검증되었고 또한 직무만족 변인과 웰리스 변인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의 결과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직업 전문성은 웰 니스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적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게 나타나 기각되었 다. 따라서 직업 전문성→직무만족→웰니스의 구조적 경로성은 직무만족을 매개효 과로 하는 타당한 영향 관계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자연치 유산업 종사자가 지각하는 직업 전문성과 직무만족 및 웰니스에 대해 객관적이며 실질적인 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multi-dimensional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job expertise on wellness, targeting managers engaged in the natural healing industry. The measurement tools used in this study consisted of 6 sub-factors of job expertise variables, 5 sub-factors of job satisfaction variables, and 5 sub-factors of wellness variables, and validity and reliability were verified and used. A path analysi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was conducted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expertise, job satisfaction, and Wellness variables perceived by natural healing industry workers. As a result of the study, in the path coefficient analysis between latent variables, the job expertise and job satisfaction variables were verified as statistically significant static influences, and the job satisfaction variables and Wellis variables were also evaluated as statistically significant static influences. However, the structural relationship in which occupational expertise affects wellness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insignificant and was rejected. Therefore,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structural path of job specialization → job satisfaction → wellness is a valid influencing relationship with job satisfaction as a mediating eff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objective and practical data on job professionalism, job satisfaction, and wellness perceived by workers in the natural healing industry.

목차
요 약
Abstract
1. Introduction
2. Study method
    2.1 연구 참가자 선정
    2.2 측정도구
3. Results
    3.1 연구 모형의 확인적 요인분석 및 적합도 평가
    3.2 측정 변인 간 연구 모형 경로분석
4. Discussion & Conclusion
References
저자
  • 김점용(Health Science Industry, Myongji Univ.) | Jeom-Yong Kim
  • 이재범(Health Science Industry, Myongji Univ.) | Jae-Bum Lee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