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핵심 개념에 대한 중등 과학 교사들의 인식 및 관점 KCI 등재

Perceptions and Perspectives of Secondary Science Teachers on Core Concep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996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800원
한국지구과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한국지구과학회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초록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처음 도입된 핵심 개념이 추상적인 담론으로 그치지 않고 학교 현장에서 구 체적인 교수학습 방안으로 구현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에 플랫폼, 숙의, 설계의 순환적 과정에 따라 백워드 설계 모 형을 활용하여 핵심 개념 이해를 위한 교수학습 자료 개발 연구에 참여한 8명의 중등 과학 교사들을 대상으로 핵심 개 념에 대한 인식 및 관점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핵심 개념에 대해 궁극적 원리에 해당하는 빅 아이디어, 일상생활을 살아가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과학 개념, 기본적이고 주요한 핵심적 과학 개념 등 핵심 개념의 의미에 대해 동일 교과 인 과학과 안에서도 공유되지 않은 인식의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교수학습 지향점에도 영향을 주어, 핵심 개념을 전이 와 확장 가능한 빅 아이디어로서 이해하고 있는 경우는 개념 간의 관계에 주목하며 분명한 방향성을 갖고 프로젝트 학 습을 설계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한편, 핵심 개념을 삶의 맥락에서 떠올릴 수 있는 과학 소양 수준의 최소한의 과학 개 념으로 인식하는 경우, 학생들의 삶에 의미 있는 학습 경험을 제공하는 것을 지향하며 일상에 적용 가능한 사례 중심으로 검색 및 조사 활동을 강조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또한 핵심 개념을 기본 개념이나 주요 개념 등 핵심적인 과학 내용 요소로 인식하는 경우, 오개념 교정을 통한 개념 변화를 강조하며 정확한 과학 지식을 학습하고 지필 평가 및 수 행 평가를 통한 문제 해결 문항을 개발하는 것을 중요하게 인식하였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이 마무리 되고 2022 개정 교육과정이 확정·고시될 예정인 현 상황에서, 핵심 개념을 핵심 아이디어로 명명하여 빅 아이디어의 취지를 재차 강조 하는 2022 개정 교육과정이 학교 현장에 안정적으로 정착될 수 있도록 실효성 있는 정책적 지원이 뒷받침 되어야 할 것이다.

Rather than an abstract discour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utline the core concepts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s a concret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in the school context. We interviewed eight secondary science teachers and reported their perceptions and perspectives on core concepts using a backward design model based on the cyclical process of the platform, deliberation, and design for developing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to understand core concepts. The participants perceived these core concepts differently, such as big ideas corresponding to the ultimate principle, minimum science concepts required for daily life, and primary and significant key concepts. In addition, this affects the associ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When core concepts are understood as transferable and expandable big ideas, there is a tendency to focu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cepts and design project learning in a specific direction. However, if core concepts are identified as minimum science concepts at the level of science literacy, that can be recalled within the context of life, there is a tendency to emphasize on activities that make a meaningful difference to the lives of students with focus on case studies that are relevant to everyday life. Once core concepts are identified as key scientific content elements, such as basic or significant concepts, teachers recognize that it is essential to emphasize concept changes by correcting misconceptions, acquiring accurate scientific knowledge, and developing problem-solving items through paper-and-pencil evaluation. As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s finalized and the 2022 revised curriculum is scheduled for release, effective policy support is required to ensure that the curriculum is revised, which emphasizes the purpose of big ideas by naming core concepts as core ideas, to be stably implemented in schools.

목차
Abstract
요 약
서 론
연구 방법
    1. 연구 참여자
    2. 자료 수집 및 분석
연구 결과
    1. 핵심 개념의 의미 및 학교 현장에 미친 영향
    2. 핵심 개념 이해를 위한 교과서 서술 방법
    3. 핵심 개념 이해를 위한 평가 방법
    5. 핵심 개념에 대한 이해와 교수학습 지향점과의관계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저자
  • 유은정(한국교육과정평가원) | Eun-Jeong Yu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