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언어네트워크를 이용한 과학전람회 지구과학 부문 탐구주제 분석: 최근 21년(2000-2020년)을 중심으로 KCI 등재

Analysis of Research in Earth Science at the Science Fair Using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Focus on the Last 21 Years (2000-2020)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996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100원
한국지구과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한국지구과학회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초록

본 연구는 과학전람회에 출품된 지구과학 부문 탐구주제를 분석하여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지구과학 탐구활동을 살펴봄으로써 지구과학 출품작 중 주제 특성을 파악하는 데 기여하는 데 목적을 지닌다. 이를 위해 과학전람회 누리집 에 게시된 지구과학 부문 출품작 중 2000년부터 2020년까지 21년 동안 다루어진 자료 총 566점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분석틀을 기준으로 언어네트워크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지구과학 출품 작품으로 지질과학이 가장 활발하게 탐구가 이 루어졌다. 특히, 층서/퇴적/화석/지사학 영역과 관련된 중생대 백악기 시대의 화석이 주를 이루었다. 이들과 함께 천문 및 우주과학, 대기과학 영역에 해당하는 핵심어가 작은 규모의 네트워크를 이루고 있었다. 천문 및 우주과학은 주로 태 양과 달, 지구를 주제로 갖는 태양 흑점, 달 위상 등 탐구활동에서 소행성, 금성과 목성과 같은 태양계 구성 천체의 역 학적 특징에 대해 다루고 있었다. 대기과학은 대기물리를 중심으로 대기 관측/분석기술, 대기역학, 대기질감시 등에 대해 다루어졌으며, 해양과학은 물리해양학과 지질해양학 등에 관해 탐구가 제한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 구를 바탕으로 학교 현장에서 지구과학 탐구주제를 선정하고 탐구활동을 수행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ield of Earth science at a science fair. For this purpose, 566 pieces of data spanning 21 years (2000 to 2020), acquired from entries in the Earth Science section on the science fair website, were analyzed using the semantic network method. As a result, geoscience topics have been actively explored in works submitted for the Earth Science section of the science fair. Fossils from the Cretaceous period of the Mesozoic Era were particularly predominant. Together with these, keywords corresponding to astronomy, space science, and atmospheric science formed a small-scale network. Astronomy and space science mainly dealt with the dynamic characteristics of asteroids, Venus, and Jupiter. Other subjects included the solar system, sunspots, and lunar phases. Atmospheric science has focused on atmospheric physics, atmospheric observation and analysis technology, atmospheric dynamics, air quality monitoring, while marine science has been limited to physical oceanography and geologic oceanography. This study, is expected to help select Earth Science topics and conduct inquiry activities in schools.

목차
Abstract
요 약
서 론
연구 방법
    연구 대상
    자료 처리 및 분석
    분석 프레임 개발
    핵심어 분석
    네트워크 분석
    프레임 분석
결과 및 논의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저자
  • 조규성(전북대학교 과학교육학부/과학교육연구소) | Kyu-Seong Cho (Division of Science Education/Institution of Science Education, Jeonbuk National University)
  • 정덕호(전북대학교 과학교육학부/과학교육연구소) | Duk-Ho Chung (Division of Science Education/Institution of Science Education, Jeonbuk National University)
  • 정동권(전북대학교 과학교육학과, 전주용소중학교) | Dong-Gwon Jeong (Department of Science Education, Jeonbuk National University, Yongso Middle School) Corresponding author
  • 강천지(전주용소중학교) | Cheon-ji Kang (Yongso Middle Scho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