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ading Eliot’s Four Quartets: From the Fleshy to the Spiritual World through Recovering Times
엘리엇의 『네 사중주』만이 담고 있는 내용의 난해성은 이미 잘 알려 져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작품의 중심에는 기독교 사상이 자리 잡고 있다는 사실에는 많은 연구자들이 동의한다. 그래서 본 글에서는 기독교 사상 중에서 영의 세계와 육의 세계 그리고 영적 각성을 핵심어 로 설정하여 『네 사중주』를 감상해 보았다. 무엇보다도 엘리엇의 난해 한 시간 개념 역시 기독교 시각으로 접근하면 어느 정도 해독이 가능하 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으며 또한 『네 사중주』에 자주 등장하는 무시간 의 순간 역시 영적 시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가시적이 며 물리적인 시간에서 해방된 영원하고 무시간적인 순간들을 엘리엇은 정점은 물론 춤과 영의 여름 등으로 구체화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순간 에 들어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자기 체념 혹은 자아의식의 제거임을 알 수 있었다.
It is very difficult for us to define the main theme of Four Quartets conclusively. Nevertheless, many researchers agree that it is based on Christianity. This paper examines the significance of Christianity, especially redemption from/in time in Four Quartets. Eliot divides time into two categories: fleshy and spiritual world. Surely Eliot emphasizes the former. So he demands that we pay attention to the spiritual, not fleshy, world. Concentrating on the spiritual world, our soul could be away from the fleshy world. The fleshy time is visible and calculable while the spiritual time is invisible and uncalulable. The way that we could go into the spiritual time is to give our own self up and wait with patience and humility. In Four Quartets Eliot profoundly probes the theme through the still point, love, dance, zero summ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