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농어촌 정보화의 포스트 코로나 대응 변화에 대한 사례 연구: 해외 농어촌 정보화 정책의 코로나19 시기 변화 방향을 중심으로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007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800원
한국농식품정보과학회 (Korean Society of Food and Agricultural Information Science)
초록

2019년 12월부터 진행된 코로나19(Covid-19)의 팬데믹 상황이 지속되면서, 많은 산업 분야에서 IT 융합형 비대면 서 비스와 무인화 서비스의 수요가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관련 기술 및 사회적 인프라의 구축에 대한 관심과 활용 분야에 대한 관심이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변화와 함께 고려할 것은 디지털 격차(Digital Divide), 즉 도 시 지역에서 생활하는 일반국민 계층이 누리는 디지털 서비스의 수준을 100으로 두었을 때, 농어촌 주민, 고령층, 장 애인, 저소득층 등의 4대 소외계층이 체감하는 격차를 평가하는 것이다(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2021). 문제는 이러 한 4대 소외계층과 신소외계층의 다수가 농어촌 거주민에 속한다는 점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농어촌 지역이 겪고 있 는 디지털 격차, 이른바 스마트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정책적 대안을 국내외 관련 사례 연구를 통해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유럽지역의 대표적인 농어촌 지역 정보화 성공 사례를 분석하고, 각 사례의 장점과 단점에 기반하여 농어 촌 지역 정보화의 핵심 요인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사례 분석 결과, 유럽 지역은 한국보다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농어촌 지역의 정보화를 단순한 IT활용 격차의 감소보 다는 경제력과 지역의 자체적인 성장 동력을 확보하는 차원에서 검토, 추진하고 있으며, 코로나19에 대응해서는 기존 의 현장 활용 중심의 IT교육과 인프라 육성을 탈피하고 개별적으로 비대면 정보화 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도록 변화하 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During the pandemic status of COVID-19 since 2019 December, demands and attention on various convergence services with non-contact technologies and social adoption are increasing. Along with these increased demands and attention, the digital divide issues should be concerned to understand the informatization degrees of rural area residences, the elderly, the disabled, and the low-income. Furthermore, rural area residences may be the elderly, the disabled, and the low-income also. It may mean that the rural area should be considered as in noticeable status of the digital divide. This study focuses on the policy alternatives to reduce the digital divide in rural areas with a literature review methodology and on the factors on informatization issues in rural areas. For the aims, this study analyzes the EU cases of informatization in rural areas to find out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the suggested policies. As the analysis result, it is clear that the EU countries try to enhance the economic and growth powers rather to reduce the digital divide gaps. Also, it can be considered that the EU countries focus on supporting the rural area to adopt the non-contact information services newly rather on maintaining the IT education services and the infrastructures in offline environments.

목차
Abstract
I. 서론
    I.1. 연구의 배경
    I.2.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II. 본론
    II.1. 영국의 농어촌 지역 정보화 사례
    II.2. 독일의 농어촌 지역 정보화 사례
III. 결론
    III.1. 정책 및 실용적 시사점
    III.2.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를 위한 제안
참고문헌
요약문
저자
  • 이종태(Dept. of Business Administration, Seoul Women's University) | Lee, Jongtae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