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예술에서의 사적 영역의 역할 - 트레이시 에민의 〈나의 침대〉를 중심으로 -

The role of an artist’s private sector on art : Focusing on Tracey Emin’s My Bed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017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100원
미술사문화비평 (Art History, Culture, Critique)
미술사문화비평학회 (Association of Art History, Culture & Critique)
초록

이 연구는 영국의 미술가 트레이시 에민(Tracey Emin, 1963 ~ )의 〈나의 침대〉 를 다룬다. 〈나의 침대〉는 에민이 이성과의 이별 후 나흘간 머물렀던 그의 침대를 전 시실로 옮겨 놓은 것으로, 매트리스와 프레임으로 구성된 하나의 침대와 침대 주변에 다양한 오브제를 배치한 작품이다. 에민의 작업은 주로 그의 사적 생활과 감정을 주 제로 삶을 이야기하며, 그가 겪어온 삶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나의 침대〉에는 에민의 불안정한 인간관계뿐만 아니라 삶의 고통이 드러난다. 〈나의 침대〉에는 모성 의 상실이 드러나거나 임신에 대한 두려움과 이별에 대한 고통과 불안감, 슬픔을 나 타난다. 에민은 〈나의 침대〉에서 그의 상처와 고통을 숨김없이 표현하였고, 그의 혼 란과 고통을 고백하는 행위를 통해 카타르시스를 경험하며 치유의 순간으로 전환된 다. 에민이 작업 과정에서 갖게 되는 치유의 경험은 관람자에 전달되며 상호 관계적 소통의 단계로 나아가게 된다. 본 연구자는 에민이 〈나의 침대〉를 통해 자신의 상처 를 어떻게 치유하는가의 과정을 연구할 것이다.

This is a study focusing on My Bed of Tracey Emin(b. 1963). Emin made herself a well known and controversial British artist by her work My Bed describing her real messy bed. My Bed was shown in Sagacho Exhibit Space in Tokyo, Japan for the first time in 1998. The following year, Lehmann Maupin Gallery in New York, the USA, and Tate Britain in London, the UK. My Bed consisted of one bed which Emin was using when she broke up with her boyfriend and a significant amount of Emin’s belongings. Main features of her artwork define that she exposes her private life without reserve in her artworks. My Bed brought Emin controversial issues whether her real bed could be an artwork. She has suffered from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PTSD) which was from sexual abuses and poverty in her childhood. While she suffered from physical and psychological pain, Emin would see the bright side of life by trying to make artworks. Accepted pain in her life and acknowledged it her destiny, hardly ever did she hide her emotions like painfulness, loneliness, sadness, depression in her works. By discharging her sadness, depression and trauma, a catharsis derived from her inner mind has been explored in her works. Having taken her private sector as her bedroom into the public sector as an exhibition room, she shares her life and communicates with audiences. Finally, Emin has achieved the freedom of expression which is connected to her emotion and likewise audiences could experience the same as Emin did.

목차
Ⅰ. 들어가며: 트레이시 에민의 인생
Ⅱ. 사적 생활의 예술화
Ⅲ. 〈나의 침대〉와 상처의 치유
    1. 〈나의 침대〉 오브제 구성의 변화
    2. 사적영역의 예술화와 카타르시스
Ⅳ. 나가면서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
  • 조이슬 | Iseul Ch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