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코로나19를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학업 스트레스, 대인관계 및 대학생활적응 KCI 등재

Academic Stres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College Life Adaptation of Nursing Students Who Experienced COVID-19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022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구 한국유화학회)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KSAST))
초록

본 연구는 코로나19를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학업 스트레스, 대인관계 및 대학생활적응 정도를 파악하고,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시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G 시 3개의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기술적 통계, t-test, ANOVA, Pearson 상관계수,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학업 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은 유 의한 음의 상관관계(r=-.584, p<.001), 대인관계와 대학생활적응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r=.505, p<.001) 을 나타냈다.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회귀모형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F=64.462 p<.001). 학업 스트레스(β=-.542, p<.001), 대인관계(β=.339, p<.001), 주거형태(β=.199, p<.001)가 유 의한 예측요인으로 나타났고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54.6%이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대학생활적응을 위 해 학업 스트레스 감소와 긍정적이고 원활한 대인관계 향상, 정서적 지지 관계 향상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Research is a descriptive study conducted to identify the academic stres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degree of adaptation to college life of nursing students who experienced COVID-19, an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college life adaptation.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were sophomore students enrolled in 3 university nursing departments in G city.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analyzed. The research result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r=-.584, p<.001) for academic stress and college life adaptation, an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r=.505, p<.001) for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college life adaptation. The regression model to confirm the influencing factors on college life adaptation was shown to be significant (F=64.462 p<.001). Academic stress (β=-.542, p<.001), interpersonal relationships (β=.339, p<.001), and housing type (β=.199, p<.001)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predictive factors. The explanatory power of these variables was 54.6%. Through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t will be possible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ing educational programs to reduce academic stress, improve positive and smooth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improve emotional support for college life adaptation.

목차
요 약
Abstract
1. 서 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목적
2. 연구방법
    2.1. 연구대상
    2.2. 연구도구
3. 결과 및 고찰
    3.1. 대상자의 학업 스트레스, 대인관계 및대학생활적응 정도
    3.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대학생활적응의 정도
    3.3. 대상자의 학업 스트레스, 대인관계 및대학생활적응 간의 상관관계
    3.4. 대상자의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요인
4. 결 론
References
저자
  • 김은영(광주대학교 보건복지대학 간호학과, 교수) | Eun-Young Kim (Department of Nursing, Gwangju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