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A Comparative Evaluation of MS-EPI DWI Signal Loss According to X-Axis Distance in Diffusion-Weighted Imaging of the Musculoskeletal System KCI 등재

근골격계 확산강조영상 적용 시 X-축 거리에 따른 MS-EPI DWI 신호 손실 비교평가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048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R Technology (대한자기공명기술학회지)
대한자기공명기술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R Technology)
초록

본 연구에서는 DWI 적용 시 X축 거리에 따른 신호 손실과 인공물 발생 여부를 SS-EPI 기법과 비교 분석하여, MS-EPI 기법의 특성을 제시하고 임상 적용 관련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3.0T 자기공명영상장치와 팬텀을 사용 하여 자기장 중심축과 좌우 끝 지점 ±3cm, 3번씩 움직여 표준 영상인 T2 강조영상과 SS-EPI DWI, MS-EPI DWI(RESOLVE) 축상면 영상을 획득하였다. 각 동일 부위에서의 SS-EPI DWI, MS-EPI DWI 영상을 T2 강조영상과 감산하여 신호 손실 직경을 측정하여 정량적 분석을 하였다. 정성적 평가는 나이퀴스트 허상과 기하학적 왜곡과 신호 손실, 인공물 발생 여부를 방사선사 3명이 비교평가 하였다. 두 기법 모두 오프 센터(off-center)로 이동할수록 신호 손실구간 또는 기하학적 왜곡이 나타나는데, 특히 MS-EPI 기법에서는 좌우 신호 손실 현상이 매우 증가해 –25, +25 cm 구간에서 는 약 50% 길이가 감소하였다. MS-EPI 기법은 근골격계 질환에서 기존에 매우 높은 영상 유용성을 인정받고 있다. 그러 나 k-공간을 분할 하여 채우는 MS-EPI 기법은 오프 센터의 낮은 공간 주파수 획득 시 위상변동 보정이 안 되어 신호 손실구간이 나타나며, 이에 관한 연구는 전혀 없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기존의 선행 연구에서의 보여주지 못한 임상적 적용 시 MS-EPI 기법의 문제점을 파악하면서 이러한 정보를 공유하고 추가적인 연구에 토대가 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analyze the signal loss and occurrence of artifacts in the MS-EPI technique with those in the SS-EPI technique in musculoskeletal DWI as the distance from the X-axis center increased. The study also aimed to provide basic data on the characteristics and clinical applications of the MS-EPI technique. A 3.0 T magnetic resonance imaging device and a 1,000 cc bottle phantom were used to acquire images by moving the center axis and the left and right endpoints ±3 cm, three times, for a total of 9 cm. T2-weighted images were employed as the standard image, and DWI images were acquired using SS-EPI DWI and MS-EPI DWI (Resolve) on the axial plane. The signal loss area diameter was measured by subtracting the T2-weighted image from each DWI image acquired at the same location. Additionally, the presence of Nyquist ghost, geometric distortion, and signal loss artifacts were evaluated by three radiologic technologists with over five years of experience in MR examination. Both techniques exhibited signal loss as they moved off-center, with the MS-EPI technique showing a significant signal loss of approximately 50% in the –25/+25 cm range. Although the MS-EPI technique is highly useful for musculoskeletal disorders, it results in a signal loss area when moving off-center due to the technique dividing the k-space to fill in the low frequency space without correcting the phase division. This study, therefore, provided a basis for further research by identifying the problems with the MS-EPI technique in clinical applications.

목차
ABSTRACT
Ⅰ. 서 론
Ⅱ. 대상 및 방법
    1. 대상
    2. 실험 장비 및 방법
    3. 영상 분석
Ⅲ. 결과
    1. 정량적 평가 비교
    2. 정성적 평가 비교
Ⅳ. 고찰 및 결론
References
요 약
저자
  • Hyun-A Gwak(Department of Radiology, Asan Medical Center) | 곽현아 (서울아산병원 영상의학과)
  • Ho-Beom Lee(Department of Radiology, Asan Medical Center) | 이호범 (서울아산병원 영상의학과) Corresponding Author
  • Hye-Sung Jung(Department of Radiology, Asan Medical Center) | 정혜성 (서울아산병원 영상의학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