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관리자 코칭 행동 관련변인 메타분석 KCI 등재

Meta-analysis of Variables Related to Managerial Coaching Behavior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089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300원
코칭연구 (Journal of Korean Coaching Research)
한국코칭학회 (The Korean Association of Coaching)
초록

본 연구는 관리자 코칭 행동의 관련 변인을 살펴보고자 관리자 코칭 행동 모 델을 중심으로 관리자 코칭 행동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였으며 각 연구결과를 체 계적이고 계량적으로 분석하는 메타분석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 성하기 위하여 체계적 문헌고찰에 대한 연구절차인 PRISMA 가이드라인에 따 라 문헌확인, 문헌선별, 선정기준 검토, 최종확정의 단계를 거쳐 최종적으로 메 타분석 연구 대상 논문 51개를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관리자 코칭 행동과 효과성의 크기를 비교 분석하여 살펴볼 수 있었다. 둘째, 관리자 코칭 행동의 구성요소 효 과 크기와 관련하여 관계 및 존중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관리자 코칭 행 동의 코칭효과별 상관관계와 관련하여 정서적 효과, 인지적, 기술적 효과, 성과 등 다양한 효과 크기를 살펴 볼 수 있었다. 넷째, 산업별 효과 크기는 서비스 산 업에서 더 큰 관계를 보였다. 다섯째, Stowell의 관리자 코칭 척도를 사용한 효 과 크기가 다른 학자들의 코칭 척도보다 더 큰 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른 의미를 살펴보면, 첫째,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와 다르게 구체적으로 관리자 코칭 행동에 관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는 측면에서 기존의 연구와 차별되었다. 둘째, 관리자 코칭이 역량개발 및 성과위주의 코칭에서 벗어 나 조직원과의 지속적인 관계 과정으로 방향을 제시하고 피드백을 주는 것이 중 요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셋째, 본 연구는 관리자 코칭의 효과성 관련하여 정서 적, 인지적, 기술적 및 성과 관련된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을 통하여 향후 관리자 코칭의 효과성에 재검토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는 것에 의미를 둘 수 있다.

This study systematically analyzes managerial coaching behavior centering on the manager coaching behavior model to examine the related variables of manager coaching behavior, and utilizs a meta-analysis method to systematically and quantitatively analyze each research result.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51 papers for meta-analysis were finally selected through the PRISMA guidelines, a research procedure for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was able to compare and analyze the size of manager coaching behavior and effectiveness. Second, in relation to the effect size related to the components of manager coaching behavior, relationship and respect were the highest. Third, it was possible to examine various effect sizes such as emotional effects, cognitive and technical effects, and performance in relation to the correlation by coaching effect of manager coaching behavior. Fourth, the effect size by industry showed a larger relationship in the service industry. Fifth, the effect size using Stowell's(1986) manager coaching scale showed a larger relationship than that of other scholars' coaching scales. The meaning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is differentiated from previous studies in that it conducted a meta-analysis on manager coaching behavior in detail is conducted. Second, it showed that it is important for manager coaching to provide direction and give feedback to a continuous relationship process with organizational members, away from competency development and performance-oriented coaching. Third, this study can be meaningful in suggesting the need to reexamine the effectiveness of manager coaching in the future through a meta-analysis of the effects related to emotional, cognitive, technical, and performance related to the effectiveness of manager coaching is suggest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관리자 코칭 행동
    2. 관리자 코칭 행동 모델
Ⅲ. 연구방법
    1. 연구 분석 대상
    2. 코딩
    3. 효과 크기 계산
    4. 출판편의 검증
    5. 분석모형
Ⅳ. 연구 결과
    1. 관리자 코칭 행동 전체 효과 크기
    2. 관리자 코칭 행동 구성요소별 코칭효과 상관관계 효과 크기
    3. 관리자 코칭 행동의 코칭효과별 상관관계 효과 크기
    4. 관리자 코칭의 조절 효과 분석
Ⅴ.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Abstract
저자
  • 김유천(동국대학교 상담코칭학과 조교수) | Kim Yu-Cheon (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Counseling Coaching, Dongguk University)
  • 이송이(동국대학교 다르마칼리지 조교수) | Lee Song-Yi (Assistant Professor, Dharma College, Dongguk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