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CFRP sheet 정착에 따른 RC 보의 휨 실험 연구 KCI 등재

Experimental Study of CFRP Sheet Anchorage in RC Beam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089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복합신소재구조학회 논문집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dvanced Composite Structures)
한국복합신소재구조학회 (Korean Society for Advanced Composite Structures)
초록

본 연구에서는 CFRP sheet의 RC 보에 대한 부착 보강 시 충분한 정착길이를 확보하고 조기파괴를 방지하기 위한 보 강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방법의 보강 성능을 실험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총 3개의 RC 보 실험체를 제작하였으며, 실험 변 수로 무보강(ORB), 하단 보강(FRB), 그리고 사선 보강 방법(XRB)이 있다. 실험은 4 점 재하로 설계하였다. 실험 결과는 휨에 의 한 파괴 양상 및 최종 파괴형태, 항복점 및 최대점, 강성, 그리고 처짐 등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FRB는 단부파괴박리가 발 생하였으나, XRB는 정착 효과로 인해 인장파괴형태를 나타내었다. 휨 강도 및 항복강도 모두 XRB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휨에 의한 강성 증가와 처짐에 대한 구속 효과 또한 XRB이 가장 크게 나타남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This study presents a method for reinforcing CFRP sheets to RC beams to ensure sufficient anchorage length and prevent premature failure. Three RC beams were fabricated to measure the bending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 one with no reinforcement (ORB), one with bottom reinforcement (FRB), and one with diagonal reinforcement (XRB). The experiment was designed using a four-point bending method,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for crack pattern and final destruction shape, yield point and peak point, stiffness, and binding effect on deflection. The analysis showed that while the FRB had a rip-off failure, the XRB exhibited a tensile fracture due to the anchorage effect. Additionally, the XRB showed the highest bending load and yield load, and was found to be superior to the FRB in terms of stiffness and binding effect on deflection. These experimental results confirm that the XRB method is more effective in preventing premature failure and ensuring the stability of the RC beam.

목차
Abstract
1. 서 론
2. 실험 계획
    2.1 실험체 설계
    2.2 실험 변수 설계
    2.3 실험 방법
3. 실험 결과
    3.1 균열 양상
    3.2 RC 보의 하중 이력 곡선
    3.3 철근의 변형률-변위 관계
    3.3 철근의 하중-변형률 관계
4. 실험 결과 분석
    4.1 보강 방법에 따른 파괴 형태
    4.2 항복점 및 최대점
    4.3 처짐
5. 결 론
감사의 글
REFERENCES
국문초록
저자
  • 김상우(경상국립대학교 토목공학과 박사과정) | Kim Sang-Woo (Ph.D. Student,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배찬영(경상국립대학교 토목공학과 석사과정) | Bae Chan-Young (Master Student,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구종현(경상국립대학교 토목공학과 석사과정) | Gu Jong-Hyeon (Master Student,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정기훈(경상국립대학교 토목공학과 석사과정) | Jeong Gi-Hun (Master Student,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김진섭(경상국립대학교 토목공학과 부교수) | Kim Jin-Sup (Associate Professor,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