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중학생의 극지 소양 평가 KCI 등재

Assessing Middle School Students’ Polar Literac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174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800원
한국지구과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한국지구과학회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초록

본 연구는 극지의 높은 교육적 가치를 바탕으로 극지 교육의 방향과 과학과 교육과정을 올바르게 설정하기 위 한 노력의 일환으로 학생들의 극지 소양을 평가, 분석했다. 연구를 위해 개발된 극지 소양 검사 문항은 극지에 대한 지 식, 기능, 태도, 신념 영역과 학생들의 배경 변인을 묻는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예비 검사를 통해 여러 차례 수정, 보완 된 최종 검사 문항은 3 2 3명의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적용되었다. 전체 학생들에 대한 극지 소양 문항의 응 답 특성을 분석했고, 극지 문제를 바라보는 관점에 따라 학생들을 세계 시민적 관점 또는 실용적 관점을 지닌 집단으 로 구분하여 이들의 극지 소양을 추가로 비교 분석했다. 분석 결과, 학생들은 극지의 기후 변화와 생물에 대한 이해는 높았으나 극지의 핵심 구성 요소인 ‘얼음’에 대한 이해는 매우 낮았으며, 극지의 문제를 다룰 때 지구 시스템적 사고로 접근하지 못했다. 또한, 세계 시민적 집단의 학생들은 실용적 집단의 학생들보다 극지의 문제에 대한 지적 이해가 높고, 그 심각성에 대해 깊게 공감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설문 결과를 바탕으로 극지 교육이 앞으로 나아가야 할 구체적인 방향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nalyzed students’ polar literacy in an effort to promote polar education based on its high educational value. The polar literacy test items developed for this study consisted of questions about knowledge, skills, attitudes, and beliefs about the polar region, as well as background variables of students. The final test items, which were revised and supplemented several times through the preliminary test, were applied to 323 eighth graders in South Korea. We analyzed the response characteristics of the polar literacy questions for all students. Students were grouped into those with a global citizenship perspective and those with a pragmatic perspective, according to the viewpoint of polar issues and their polar literacy. Analysis showed that the students had a high understanding of climate change and living things in the polar regions, but had a very low understanding of ice, which is a key component of the polar regions. Moreover, they were unable to approach the Earth system thinking when dealing with polar issues. In addition, the global citizenship group had a higher intellectual understanding and deeper sympathy of the polar problem than the pragmatic group.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the survey results present a specific direction for future polar education.

목차
Abstrac
요 약
1. 서 론
2. 연구 방법
    2.1. 연구 과정
    2.2. 문항 개발
    2.3. 연구 대상
    2.4. 자료 수집 및 분석
3. 연구 결과
    3.1. 극지에 대한 지식과 기능 특성
    3.2. 극지에 대한 신념과 태도 특성
    3.3. 극지 가치 추구에 따른 극지 소양 특성
4. 결론 및 시사점
감사의 글
References
저자
  • 최하늘(이화여자대학교 과학교육과) | Haneul Choi (Department of Science Education, Ewha Womans University)
  • 신동희(이화여자대학교 과학교육과) | Donghee Shin (Department of Science Education, Ewha Womans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