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천관산도립공원의 식생 특성 KCI 등재

Vegetation Characteristics in Cheongwansan Provincial Park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174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900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초록

본 연구는 식물군집구조 분석을 통해 천관산도립공원의 식생 특성을 파악하여 천관산도립공원의 지속적인 관리와 보호에 필요한 자료를 구축하고자 진행되었다. 천관산도립공원의 63개 조사구에 대한 식물군집구조 분석 결과, TWINSPAN과 DCA분석을 통해 삼나무군락(Ⅰ), 편백-소나무군락(Ⅱ), 리기다소나무-소나무군락(Ⅲ), 침활혼효군락(Ⅳ), 소나무군락(Ⅴ), 낙엽성참나무류군락(Ⅵ), 신갈나무-소나무군락(Ⅶ), 곰솔군락(Ⅷ)의 총 8개 군락으로 나뉘었다. 이는 조림수종인 삼나무와 편백, 리기다소나무가 우점하는 인공림 군락(Ⅰ, Ⅱ, Ⅲ)과 자생수종이 우점하는 자연림 군락(Ⅳ, Ⅴ, Ⅵ, Ⅶ, Ⅷ)으로 나눌 수 있다. 천관산도립공원은 자연생태계나 경관을 대표할 만한 도립공원 지역임에도 다른 도립공원에 비해 인공림의 출현비율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인공림 군락은 조림수종이 인위적으로 식재된 형태로 대부분 현재의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판단되지만, 주변 자연림을 통해 유입된 난온대 수종인 후박나무와 참식나무 등과 낙엽활엽수 등의 자생종이 하층에 출현하고 있어 관리를 통해 기후적 특성에 맞는 자연림으로의 천이 유도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지속적인 관리를 위한 모니터링 또한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자연림 군락은 대부분 낙엽성참나무류와 소나무가 경쟁하고 있는 상태로 한국 난온대 지역의 식생천이계열상 천이 초기단계로 보여지며, 천이계열상 침엽수 다음으로 출현하는 졸참나무나 신갈나무로의 천이가 진행 중인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난온대 지역의 천이 중간단계에서 출현하는 후박나무, 참식나무 등이 출현을 시작하고 있으며, 기후 특성을 고려하면 장흥군은 난온대 지역에 속해있어 최종적으로 상록활엽수가 우점하는 난온대림으로의 천이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를 통해 식생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천관산도립공원의 식생자료를 구축하였다. 하지만 천관산도립공원의 식생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으로 산림식생자료 구축과 식생변화 관찰 등을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지속해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vegetation characteristics of Cheongwansan Provincial Park through the analysis of the plant community structure and to build data necessary for the continuous management and protection of Cheongwansan Provincial Park. The TWINSPAN and DCS analyses of the plant community structure of 63 survey districts in Cheongwansan Provincial Park identified eight colonies, including Cryptomeria japonica Community (I), Chamaecyparis obtusa-Pinus densiflora Commuity (II), P. rigida-P. densiflora Community (III), mixed coniferous and broad-leaved Community (IV), P. densiflora Community (V), deciduous broad-leaved such as Quercus spp. Community (VI), Q. mongolica-P. densiflora Community (Ⅶ) and P. thunbergii Community (Ⅷ). The colonies can be grouped into afforestation communities (I, II, and III) dominated by C. obtusa, C. japonica, and P. rigida and natural forest communities (IV, V, VI, VII, and Ⅷ) dominated by native species. Although Cheongwansan Provincial Park is a provincial park area that can represent natural ecosystems and landscapes, the rate of artificial forests is higher than that of other provincial parks. Most of the artificial forest communities are expected to maintain their current state, but since native species such as Machilus thunbergii, Neolitsea sericea, and deciduous broad-leaved, which are warm-temperate trees introduced through surrounding natural forests, appear in the lower layer, it is determined that it is possible to induce succession to natural forests suitable for climatic characteristics through management, and monitoring for continuous management is also necessary. Deciduous broad-leaved such as Quercus spp. Copete with P. densiflora in most natural forest communities. The vegetation series in the warm-temperate region of Korea appears to be in the early stages, and it is believed that the succession to Q. serrata or Q. mongolica, which appears next to coniferous in the series, is in progress. However, M. thunbergii and N. sericea, which appear in the middle stage of the succession in the warm-temperate region, have started to appear, and since Jangheung-gun belongs to the warm-temperate region considering the climate characteristics, the eventual succession to the warm-temperate forests dominated by evergreen broad-leaved is also expected. In this study, we built vegetation data from Cheongwansan Provincial Park, which lacks research on vegetation. However, since vegetation research in Cheongwansan Provincial Park is still insufficient, it is believed that further research should be continuously conducted to establish forest vegetation data and observe vegetation changes.

목차
요 약
ABSTRACT
서 론
연구방법
    1. 연구대상지 선정
    2. 조사 및 분석 방법
결과 및 고찰
    1. 기후
    2. 식물군집구조
REFERENCES
저자
  • 강지우(국립수목원 정원식물자원과 석사급연구원) | Ji-Woo Kang (Garden and Plant Division,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11186, Republic of Korea)
  • 강현미(국립목포대학교 조경학과 부교수) | Hyun-Mi Kang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Mokpo National Univ., Muan 58554, Republic of Korea)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