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병해충 진단 및 처방의 전문성 강화를 위한 식물의약사(식물위생전문가) 제도의 필요성과 도입방안 KCI 등재

Necessity and Introduction Plan for Agrochemical Pharmacist System to Strengthen Expertise in Pest Diagnosis and Prescrip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203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응용곤충학회지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한국응용곤충학회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초록

우리나라는 2021년 기준 OECD 국가중 화학농약 사용량 3위로 농약사용의 개선이 필요하다. 특히 범국가적인 One Health 정책 관점에서 농작물에 사용되는 항생제 농약관리도 필요하다. 현재 시행중인 PLS, 판매관리인 교육 및 농약판매기록 제도들이 선정된 농약 사용의 안정성에 초 점을 맞춘다면, 진단과 처방을 중심으로 한 식물의약사 제도는 농약 선정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는 제도이다. 국내 발생 병해충은 연간 1,000여종 이 상이며, 하나의 고위험 병해충에 적용가능한 등록약제는 100~200개로 작용기작과 처리방법 측면에서 다양하다. 정확한 진단을 바탕으로 적합한 약 제를 선정하는 처방은 수백종 이상의 병해충에 대한 전문지식과 다양한 약제에 대한 이해와 실무경험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 농업인에 대한 설문 조사 결과, 응답자중 81% 농업인이 농약구매와 사용에 대한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하며, 이중 48% 농업인들은 매우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판매관리인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42%의 판매관리인이 진단 및 처방에 대한 전문성 강화가 절실함을 주장하였으며, 필요성을 인지하는 판매관리 인도 44%로 확인되어, 전체적으로 42~86%의 판매관리인들이 진단 및 처방에 대한 전문성 강화에 관심이 있었다. 식물의약사 제도화 초기에 현장 경험이 많은 판매관리인을 제도권으로 수용할 수 있는 특별전형을 고려해야 한다. 병해충 종류별 등록된 농약의 저항성 수준을 자료화하고 효과적인 방제력을 구축하여 진단 및 처방의 정확성을 높여야 한다. 판매관리인은 식물의약사 자격을 경쟁 우의 차별화 전략으로 인식하고, 더 이상 판매관리 인이 아니라 식물의약사로서 “믿음이 가는 식물의약사가 처방하는 농약”의 시장 포지셔닝을 통해 매출액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향후 법제화를 위 한 관련법 개정, 전문성 강화 교육 커리큘럼, 자격제도 운영에 대한 실무적인 논의가 필요하다. 식물의약사 제도화를 통해 판매관리인의 전문성을 상 향 평준화 함으로서 농업 현장의 병해충 진단 및 처방 기술을 선진화하고, 국민의 건강과 직결되는 합리적인 농약 사용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The currently implemented Positive List System, sales manager training, and pesticide sales record systems focus on the safety of determined pesticide use, but the proposed agrochemical pharmacist (AP) system aims accurate diagnosis and reasonable prescription. In this study, 81% of famers claimed expert assistance for purchasing and applying pesticides, and 42~86% of sales managers insisted on the strengthening expertise in diagnosis and prescription. In the institutionalization of AP, a special implementation guideline is essential to embrace the present sales managers with long experience. Sales managers of commercial and agricultural cooperatives recognize the qualifications of agrochemical pharmacists as a strategy to differentiate themselves from competitors, and increase sales through market positioning of “pesticides prescribed by trustworthy agrochemical pharmacists”, not sales managers anymore.

목차
ABSTRACT
초 록
작물생산의 안정성 확보에 대한 사회적 요구와 정책
원헬스(One health) 측면에서 항생제 농약 사용에 대한대책 필요
동일 병해충 적용 가능한 100개 이상의 약제
농약 판매관리인 자격 취득의 전문성 미흡
병해충 진단 및 약제 처방을 위한 관련 규정 부재
식물의약사 제도와 관련된 이해 관계
농업인 의견 수렴
판매관리인 의견 수렴
학계 의견 수렴
식물의약사 정책 SWOT 분석
식물의약사 자격에 대한 단계적 접근
선택권을 부여하는 식물의약사 자격
식물의약사 관심 직업군 세분화와 표적 관심 직업군
식물의약사의 역할과 가치
결 론
사 사
저자 직책 및 역할
Literature Cited
저자
  • 김재수(전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농생물학과, 전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농축산식품융합학과) | Jae Su Kim (Department of Agricultural Biology, Jeonbuk National University, Department of Agricultural Biology, Jeonbuk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 권덕호(한국농수산대학교 원예학부) | Deok Ho Kwon (Department of Horticultur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griculture and Fisheries)
  • 이세진(국립순천대학교 생명산업과학대학 농생명과학과) | Se Jin Lee (Department of Agricultural Life Science, Sunchon National University)
  • 이수연(전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농생물학과) | Sueyeon Lee (Department of Agricultural Biology, Jeonbuk National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