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Directions for Resolving Imbalance of Health Care Workforce among Regions to Ensure Health Equity : Focusing on Nursing Workforce KCI 등재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209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100원
사회적질연구 (Korean Journal of Social Quality)
한국인문사회질학회 (Korean Association on Humanities & Social Quality)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ypes of imbalance among nurses through an analysis of the status of health and medical resources by regions, which is a major factor in terms of ensuring health equity, and to suggest solutions for each type of imbalance. To this end, the study analyzed the numbers of medical institutions and beds, of nurses working in medical institutions (nurse demand), of nursing college graduates, and of available nurses (nurse supply) by regions. Solution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were sought and the study found that among the regions that promoted a policy to secure regional nurses through the supply of nurses, the policy was most effective in such regions as Gyeonggi, Incheon, Ulsan, and Sejong. However, these regions have also been the ones with the lowest ratio of nurse enrollment quota increase over the past 10 years.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the policy to increase the admission quota of regional nursing colleges alone is not effective when it comes to securing regional nurses. Instead,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plan to secure regional nurses by classifying areas into four different areas as follows; first, areas where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nursing college admissions and medical institutions is required, second, areas that require plans to utilize idle nurses, third, areas that needs to have more medical institutions with more than 300 beds, and lastly, areas that improvement in working conditions at medical institutions is required. This is how we can ensure equity in health across regions.

본 연구는 건강형평성 보장의 주요 요인인 ‘지역별 보건의료자원 현황’ 분석을 통해 간호사 수급 불균형 의 유형을 구분하고, 불균형의 유형별 해결 방향을 제시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지역별로 의료기관 수 및 병상수, 의료기관 근무 간호사수(간호사 수요), 간호대학 졸업자, 가용간호사수(간호사 공급) 등을 분석하여 간호사 수급 불균형의 유형을 세부적으로 구분하였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해결 방향을 모색한 결과, 지금까지 추진된 ‘간호사 공급 확대를 통한 지역간호사 확보 정책’은 경기, 인천, 울산, 세종 등지에서 실효성이 나타났다. 그러나 이 지역들은 지난 10년간 간호사 입학정원 증원 비율이 가장 낮았던 지역들이었 다. 이를 통해 지역간호대학의 입학정원 증원 정책만으로는 지역간호사를 확보하는 데 실효성이 낮음을 확 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지역간호사 확보를 위해 네 가지 유형으로 지역을 구분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 다. 첫째는 지역별 건강형평성 보장을 위해 간호대학 입학정원과 의료기관수 확대가 필요한 지역이고, 둘째 는 유휴간호사 활용방안 마련이 필요한 지역이고, 셋째는 300병상 이상의 의료기관 확대가 필요한 지역이 고, 넷째는 의료기관의 근무여건 개선이 필요한 지역이다.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자료수집 및 분석
    2. 용어의 정의
Ⅲ. 연구결과
    1. OECD 국가와 한국의 의료자원 현황 및 변화추이 분석
    2. 지역별 의료기관 및 병상수(의원급 포함), 의료기관 근무 간호사 현황분석
    3. 간호사 공급 및 수요 현황분석
    4. 간호사 수급 불균형 유형 구분
    5. 간호사 수급 불균형 유형별 해결 방향
Ⅳ. 결론 및 제언
저자
  • Pak So-young(Assistant Professor, College of Nursing, Shinhan University, South Korea) | 박소영 (신한대학교 간호대학 조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