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대구, 경북지역 우량 산림습원의 관속식물상 변화와 요인 KCI 등재

The Change and Factor of Vascular Plants in Outstanding Forest Wetland in Daegu-Gyeongbuk,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239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500원
농업생명과학연구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본 연구는 대구·경북 우량 산림습원의 관속식물을 확인하고 과거 연구와 비교 분석하고자 2020년 6월부터 2022년 11월까지 현장조사를 수행하였 다. 출현한 관속식물은 119과 427속 741종 64변종 21아종 8품종 1교잡종 등 총 835분류군을 확인하였다. 희귀식물은 총 16분류군(멸종위기종(EN) 1분류군, 취약종(VU) 1분류군, 준위협(NT) 8분류군 및 데이터부족(DD) 6분류군)이다. 특산식물은 총 23분류군이며 습지식물은 172분류군, 신귀화 식물은 47분류군을 확인하였다. 기존 연구(2017년~2018년)에 비해 습지식물의 비율은 23.01%에서 20.60%로 감소하였고, 귀화율은 4.29%에서 5.63%로, 도시화지수는 8.59%에서 14.42%로 증가하였다. 이차건생초지를 구성하는 식물의 비율이 늘어나 습원은 점차 육화가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변화 요인은 산림습원으로의 접근성과 수계시스템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판단된다. 토양의 경운, 산림 내 수원의 감소 등으로 육상식물의 유입이 증가하면서 산림습원으로서의 기능이 점차 저하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산림습원을 보전하기 위해 보호지역의 지정 등을 통한 방법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and compare vascular plants of forest wetland in Daegu· Gyeongbuk. we surveyed from June 2020 to November in 2022. The flora of wetland was classified as a total of 835 taxa comprising of 119 families, 427 genus, 741 species, 64 varieties, 21 subspecies, 8 forma, 1 hybrid. Among them, The Rare plants species 16 taxa: Endangered (EN) 1 taxa, Vulnerable (VU) 1 taxa, Near threatened (NT) 8 taxa and Data deficient (DD) 6 taxa. Endemic plants 23 taxa, wetland plants 172 taxa and neophytes naturalized plants 47 taxa were recorded. Compared to previous studies (2017~2018), the ratio of wetland plants decreased from 23.01% to 20.60%, the naturalized ratio increased from 4.29% to 5.63% and the urbanization index increased from 8.59% to 14.42%. forest wetlands are gradually becoming land due to the high proportion of plants that make up secondary dry grassland. These factors of change are judged to be influenced by accessibility and the water system. It was confirmed that the function as a forest wetland was declining as the inflow of land plants increased due to the soil cultivation, decreasing a water system and so on.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consider methods through the designation of protected areas to conserve forest wetlands.

목차
초록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1. 연구대상지
    2. 연구방법
결과 및 고찰
    1. 관속식물
    2.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
    3. 특산식물
    4. 습지식물
    5. 신귀화식물
    6. 대구·경북 산림습원의 보전
감사의 글
References
저자
  • 유성태(대구수목원, 녹지연구사) | Sung Tae Yoo (Daegu Arboretum, Daegu, 42829, Korea)
  • 이명훈(대구수목원, 녹지연구사) | Myung Hoon Yi (Daegu Arboretum, Daegu, 42829, Korea)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