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Comparison of the Sedation Method Using Chloral Hydrate and Feed and the Wrap Method in Neonatal Brain Magnetic Resonance Imaging KCI 등재

신생아의 뇌 자기공명영상 검사시 포수크로랄 진정 방식과 피드 및 랩 방식의 비교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309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R Technology (대한자기공명기술학회지)
대한자기공명기술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R Technology)
초록

This study evaluated the usefulness of the feed and wrap technique, compared with the sedation method, using chloral hydrate during neonatal MRI scans. In order to evaluate the usefulness, the image quality, scan time, and severity of motion artefacts, the chloral hydrate sedation and the feed and wrap technique group were statistically compared. Subsequently, the success rate, compared with the total number of scans of the feed and wrap method, was measured.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the groups in terms of the severity of motion artefacts and image quality but the scan time exhibited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a p-value of 0.001. The scan success rate was 100%.

본 연구는 신생아 검사 중 포수클로랄(chloral hydrate)을 투여 후 진행되는 신생아 진정 검사 대비 진정 대체 방식 중 하나인 피드 및 랩(feed and wrap) 방식의 유용성을 평가한 연구이다. 본 연구에선 진정으로 진행한 신생아의 두뇌 T2 축면 영상과 피드 및 랩 방식으로 진행한 같은 영상 각 30개의 운동 허상(motion artifact)과 백질과 회백질의 구분 정도를 두 명의 영상의학과 전문의가 정성적으로 평가하였고, 운동 허상을 측정하기 위해서 위상부호화(phase encoding) 방향의 배경 영역(background area)의 평균 신호 강도(mean signal intensity)를 구하여서 정량적 방식으로 평가하였다. 또한 총검사 시간을 정리한 뒤 정량적 방식으로 평가하였고 투약 기록의 여부와 간호일지를 토대로 피드 및 랩 방식의 총 39건의 검사 건수 대비 성공률을 측정하였다. 운동 허상의 정량적 평가와 영상 품질의 정성적 평가 모두에서 두 집단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검사 시간의 정량적 평가에선 p값이 0.001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피드 및 랩 방식의 총검사 건수 대비 성공률은 100%였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에선 피드 및 랩 방식과 진정 방식의 영상 품질이 유의한 차이가 없고 성공률이 높기에 유용하다고 판단하였으나, 검사 시간이 더 지연되는 한계가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목차
Ⅰ. 서 론
Ⅱ. 대상 및 방법
    1. 연구 대상 및 장비
    2. 검사 전 준비
    3. 자료 획득
    4. 자료 분석 방법
Ⅲ. 결 과
    1. 정량적 분석
    2. 정성적 분석
    3. 검사 성공률
Ⅳ. 고찰 및 결론
Ⅴ. 감사의 글
저자
  • Tae Soon Yu(Department of Radiology, The Catholic University of Yeouido St. Mary's Hospital, Korea) | 유태순 (여의도성모병원 영상의학과 방사선사)
  • Cheol Kang(Department of Radiology, The Catholic University of Yeouido St. Mary's Hospital, Korea) | 강철 (여의도성모병원 영상의학과 방사선사)
  • Hyeon Jun Ju(Department of Radiology, The Catholic University of Yeouido St. Mary's Hospital, Korea) | 주현준 (여의도성모병원 영상의학과 방사선사)
  • Seung Min Lee(Department of Radiology, The Catholic University of Yeouido St. Mary's Hospital, Korea) | 이승민 (여의도성모병원 영상의학과 방사선사)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