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전기투석 공정에 의한 알칼리 회수: 총설 KCI 등재

Alkali Recovery by Electrodialysis Process: A Review

  • 언어ENG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313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멤브레인 (Membrane Journal)
한국막학회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초록

전기투석(ED)은 이온교환막을 통한 이온의 분리에서 중요한 과정이다. 해수담수화로 발생하는 염수 처리는 환경 적으로 큰 문제이며 막분리 기술을 통한 재활용 효율이 높다. 마찬가지로 알칼리는 가죽, 전기도금, 염색, 제련 등과 같은 여 러 화학 산업에서 생산된다. 폐기물의 고농도 알칼리는 부식성이 높고 화학적 산소 요구량(COD) 값이 높기 때문에 환경에 방출하기 전에 처리해야 합니다. 칼슘과 마그네슘의 농도는 염수의 거의 두 배이며 주요 환경 오염 물질인 이산화탄소의 흡 착에 완벽한 후보입니다. 수산화나트륨은 양극성 막 전기투석 공정으로 쉽게 생산되는 금속 탄산화 공정에 필수적입니다. 역 삼투압(RO), 나노여과(NF), 초여과(UF), ED 등 다양한 공정을 통해 회수가 가능하다. 본 검토에서는 알칼리 회수를 위한 이 온교환막에 의한 ED 공정에 대해 논의한다.

Electrodialysis (ED) is essential in separating ions through an ion exchange membrane. The disposal of brine generated from seawater desalination is a primary environmental concern, and its recycling through membrane separation technology is highly efficient. Alkali is produced by several chemical industries such as leather, electroplating, dyeing, and smelting, etc. A high concentration of alkali in the waste needs treatment before releasing into the environment as it is highly corrosive and has a chemical oxygen demand (COD) value. The concentration of calcium and magnesium is almost double in brine and is the perfect candidate for carbon dioxide adsorption, a major environmental pollutant. Sodium hydroxide is essential for the metal carbonation process which, is easily produced by the bipolar membrane electrodialysis process. Various strategies are available for its recovery, like reverse osmosis (RO), nanofiltration (NF), ultrafiltration (UF), and ED. This review discusses the ED process by ion exchange membrane for alkali recovery are discussed.

목차
요 약
Abstract
1. Introduction
2. Electrodialysis
    2.1. Bipolar membrane
    2.2. Anion exchange membrane
3. Conclusions
Reference
저자
  • 살센벡 아샐(연세대학교 언더우드국제대학 융합과학공학부 나노과학공학) | Sarsenbek Assel (Nano Science and Engineering, Integrated Science and Engineering Division, Underwood International College, Yonsei University)
  • 라즈쿠마 파텔(연세대학교 언더우드학부 융합과학공학부 에너지환경융합전공) | Rajkumar Patel (Energy and Environmental Science and Engineering, Integrated Science and Engineering Division, Underwood International College, Yonsei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