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남사당놀이 여섯 종목 형성에 관한 연구 - 조선 후기 풍속도를 중심으로 - KCI 등재

A Study on the Formation of Six categories in Namsadangnori –Focusing on the genre painting in the late Joseon Dynast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328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8,300원
문화와예술연구 (문화와예술연구 (문화예술연구))
초록

본 연구는 조선 후기 풍속도를 바탕으로 조선 후기전문 유랑 연희패들이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된 남사당놀이 여섯 종목 형 성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구 방법은 문헌 연구를 중심 으로 이루어졌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산풍속도>에서 꼭두각시놀음은 ‘박첨지 놀음’과 ‘산대패 노는 모양’으로 기록되어 있다. 이때, 꼭두는 후뇌를, 각 시는 어린 소녀를 의미한다. 남사당놀이에서는 꼭두각시놀음을 ‘덜미’라고 부르는데, 인형의 목 뒷덜미(후뇌)를 잡고 공연하는 특징이 반영된 용어이다. 둘째, 〈봉사도〉와 〈알성시은영연도〉에는 ‘땅재주’와 ‘대접 돌리기’가 한 무대에서 동시에 공연되는 모습이 담겨있다. 즉, 이 연희들은 민간 부분뿐만 아니라, 국가의 중요 행사에서 공 연되는 놀이로 대중들의 인기를 받는 것으로 보인다. 남사당놀 이에서 ‘땅재주’는 ‘살판’으로, ‘대접 돌리기’는 ‘버나’로 명칭 된 다. 셋째, 줄타기는 연희 전에 고사를 지내는 특징이 있다. <기 산풍속도>에서 줄꾼은 창배(倡俳) 혹은 창부(倡夫)로 기록되어 있다. 남사당놀이 줄타기는 줄꾼이 여성이라는 특징이 있다. 남 사당놀이에서는 줄타기를 ‘어름’이라고 한다. ‘줄-어름’이란 단 어에서 ‘줄’이 생략된 형태로, ‘어름’이란 ‘(줄을) 탄다’는 ‘보삭 (步索)’의 의미이다. 넷째, <기산풍속도>에는 ‘탈놀이’의 전체적인 연희 분위기와 각 탈의 특징을 확인할 수 있는 다양한 도상이 존재한다. ‘탈놀 이’는 야간에 공연되는 특징이 있다. 남사당놀이에서는 ‘탈놀이’ 를 ‘덧뵈기’라고 부르고 있으나, 1960년대는 ‘덧보기’로 지칭되어 있으며, 해학적이고 사회 풍자적인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섯째, 풍물놀이는 농악과 관련 있는 부분이다. 조선 시대 ‘사당’은 여성, ‘거사’는 남성을 의미한다. <기산풍속도>의 화제를 통해서 보면, 사당패는 여성 중심의 연희패였으며, 이후 남 성 중심 연희패가 생기면서 남사당패가 형성된 것을 알 수 있 다. 또한, 풍물 연희 중에 하나로 펼쳐지는 ‘무동놀이’의 '무동' 의 의미는 어깨 위에 올라가서 연희를 하는 ‘무등’의 의미로 사 용되었다. 즉, 현재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된 남사당놀이의 여 섯 종목은 다양한 19세기 유랑 연희집단이 해체되고 통합되는 과정에서 영향을 받아 형성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무형문화재로 등록된 남사당놀이 여섯 종목 형성 에 미친 조선 후기 다양한 연희패들의 영향력을 분석한 것으 로, 남사당놀이 여섯 종목의 의미 분석 및 복원을 위한 기초자 료로 활용되는 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s to analysis the influence of professional wandering performance groups in the late Joseon period on forming the six categories of Namsadangnori, based on the genre painting in the late Joseon Dynasty. It is designated as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e research method is a literature study, focusing on the genre painting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First, Gokdugaksinoreum(puppet show) is written as ‘Park Cheomji Noreum’ or ‘SanDaePaenoneun Moyang’ in the Gisan's genre painting. Here, Kokdu means the hindbrain and Gaksi does an unmarried young girl. It is named ‘Deulmi’, which reflects the characteristic of performance holding the back of the doll’s neck(the hindbrain) in Namsadangnori. The Second, Ttangjaeju(acrobatic feat) and Daejeobdolligi(bowl spinning) have the characteristic of performance simultaneously on the same stage in Bongsado and Alseongsieunyeongyeondo. Thus, it seems that they are very popular not only in the private events but also in important national ones. Ttangjaeju is named Salpan and Daejeobdolligi is Beona in Namsadangnori. The Third, Jultagi has a characteristic of Gosa rites before its performance. A tightrope walker is written as Changbae(actor) or Changbu(male actor)in the Gisan’s. It is a female walking on a tightrope that Namsadangnori’s Jultagi has characteristic of. Jultagi is called Eoreum(Jul is omitted) in Namsadangnori, which comes from Jul-Eoreum. Eoreum means 'Bosak' which is to walk on the rope. The Fourth, there are various paintings in Gisan’s which can identify the atmosphere of the overall Talnori(masque) 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mask. It is a special feature to perform Talnori at night. In Namsadangnori, Talnori is called ‘Deutboegi’, but it was ‘Deutbogi’ in the 1960s, whose performance is composed of humour and a keen satire on society. The fifth, Pungmulnori is related to Nongak(farmers’ music). Sadang means a female, and Geosa does a male in the Joseon period. Based on the Gisan’s titles, Sadang had been a female-centered performance group and later the Male-centered performance group was newly made. Also, the ‘Mudong’ means a dance on the shoulder in ‘Mudongnori’, which is one of the Pungmulnori performances. That is, its six categories designated as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re influenced by the dissolution and integration of various wandering performance groups in the19th century. Its findings are useful as basic data for the impact of various performances in the late Joseon period on forming its six categories as well as for analyzing its meaning and restoration of Namsadangnori, a Korean intangible cultural asset.

목차
국문초록
Ⅰ. 서 론
Ⅱ. 남사당놀이 관련 선행 연구
Ⅲ. 남사당놀이 여섯 종목의 분석
    1. 풍물
    2. 덜미
    3. 덧뵈기
    4. 버나
    5. 살판
    6. 어름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강향란(국가무형문화재 남사당놀이보존회, 이사) | Kang Hyang-ran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Namsadang Nori Preservation Association, Direc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