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휘파(徽派) 전통건축이 현대적 장신구 디자인에 미치는 영향 연구 KCI 등재

Application of Expeditionary Traditional Architecture in Modern Jewelry Desig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328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800원
문화와예술연구 (문화와예술연구 (문화예술연구))
초록

중국의 고건축물(古建築物)은 인류문명중의 걸작으로 고대인 의 출중한 지혜와 정밀한 기예 및 장인정신의 결정체이다. 이 들 건축물의 기세는 성대하며 건축양식의 풍채 또한 독특하며 정교하고 섬세하였다. 특히 중국 강남 지역의 고건축물은 원림 (園林), 수곽(水廓, 水鄕) 등과 청와(靑瓦)와 백벽(白壁)으로 이 루어진 독특한 풍경을 지니고 있다. 또한 그 청와와 백벽으로 이루어진 고건축물 중에서도 강남지역의 독특한 예술매력을 보 여주는 휘파(徽派) 건축이 가장 대표적이다. 오늘날 현대 장신구 디자인에서는 전통문화에 대한 전수와 계승, 그리고 정감 및 예술에 대한 사상의 구현을 더욱 중요시 하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강남지역의 청와와 백벽 건축물의 요소를 현대 장신구의 디자인에 유입함을 연구하였다. 휘파(徽 派)건축의 수묵(水墨)양식 건축은 청신하고 아담하며 고풍스러 운 느낌이다. 이는 현대 장신구의 수수하고 진중하며 개성적인 모습으로 전개되어 전통적인 장신구와의 귀족적적이며 화려하 고 고루함 등과 상대적으로 차별이 되었다. 이들 휘파(徽派) 건 축물과 현대 디자인은 예술형식의 융합이며 전통에 대한 추억 이다. 그러므로 본고는 현대 예술 디자인의 창조적인 탐색이다. 이를 바탕으로 장신구 디자인을 탐구하는 동학들에게 새로운 디자인의 창의와 폭넓은 사고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

China's ancient architecture is a masterpiece in human artistic civilization, is the crystallization of the superb wisdom and exquisite skills and craftsmanship of China's ancient working people, its majestic atmosphere, unique style, exquisite and delicate details. Among the traditional ancient buildings, the gardens and water towns in China's Jiangnan area are unique, and among the green tile white-walled buildings, the Hui school architecture is the most representative, presenting the unique humanistic and artistic charm of China's Jiangnan region. In the design of modern jewelry, more and more attention is paid to the inheritance of traditional culture, the sustenance of emotional ideals and the expression of artistic ideas. The elements of the blue tile white wall building in China's Jiangnan region are integrated into the design of modern jewelry, and the fresh and elegant simplicity of the ink style building of the Hui school building shows the low-key, calm, trendy, individuality, and distinguishes the noble, gorgeous, old-fashioned, and grand of traditional jewelry, which is the fusion of two art forms, the recollection of tradition of the times, and the innovative exploration of art design. I hope to provide some inspiration and design ideas for many people who study and explore the jewelry design industry.

목차
국문초록
Ⅰ. 들어가기
Ⅱ. 중국 강남 휘파(徽派)건축의 특징
    1. 강남지역의 인문지리와 휘파건축
    2. 휘파 전통원림(園林)건축
    3. 전통휘파의 청와(靑瓦)와 백벽(白壁)건축
Ⅲ. 현대장신구 디자인 개요
    1. 현대장신구의 개념과 디자인 정의
    2. 현대장신구의 디자인 이념과 재료선택
Ⅳ.휘파 전통건축과 현대장신구 디자인의 응용
    1. 영감과 외관조형
    2. 정서와 기술
    3. 공통성의 융합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Zhaoyibo(선양대학 미술학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