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유치원 및 어린이집 교사의 어린이 영양에 대한 태도 및 교육 배경과 영양지식과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 강남지역을 중심으로 - KCI 등재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36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식품영양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한국식품영양학회 (The Korean Society of Food and Nutrition)
초록

본 연구는 유치원 및 어린이집 교사들의 어린이 영양에 관한 태도를 조사하고 그들의 영양에 관한 교육 경험이 영양지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조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1. 응답 교사가 어린이 5대 생활지도 중에서 가장 중점을 두는 것은 사회생활이 50.5%로 가장 높았으며 건강생활은 37.3%로 2번째로 나타났다. 2. 어린이 영양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서 교사들의 36.3%가 `매우 필요하다`고 응답하였으며 58.8%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여 95.1%가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3. 영양프로그램 참가 기회가 주어진다면 교사들의 28.4%가 반드시 참가하겠다고 응답하였고 55.9%가 참가하려구 노력하겠다고 응답하여 전체의 84.3%가 긍정적인 답을 하였다. 4. 급식시간과 영양교육의 관련성에 대한 생각을 묻는 질문에 `어린이들의 사회화에 필요한 시간`이라는 응답이 55.4%, `영양에 관해 교육할 기회`가 30.9%로 나타났다. 5. 어린이의 영양교육방법은 38.3%가 `급식시간을 활용하여 교육한다`고 응답하였으나 `특별히 주제를 정하고 시청각 교재를 활용하여 영양교육을 한다`는 경우 3.9%로 나타났다. 또한 `급식시간의 영양교육활용 가능성은 인정하나 활용하지는 않는다`고 응답한 교사가 47.5%로 조사되었다. 6. 교사들의 영양지식에 관한 점수는 총 20점 만점에 10.9±3.0으로 나타났다. 7. 영양교육 프로그램 참가 경험이 있는 교사는 전제의 18.6%였으며 그들의 영양 지식 점수는 11.0±3.0, 경험이 없는 교사는 10.3±3.1이었다. 재학시 영양과목 이수 경험이 있는 교사는 전체의 44.6%였으며 그들의 영양지식 점수는 11.1±2.9, 이수경험이 없는 교사는 10.6±3.2로 나타나 영양교육경험이 있는 교사들이 다소 높은 점수를 나타냈으나 검정 결과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The research aims to reveal the attitude of day-care center and preschool teachers to nutrition, while understanding the influence of their experience of participation in nutrition education programs or taking nutrition courses in school days on the degree of their nutrition knowledge scores. The 204 subjects answered the questionnaire by a self-administration method from April 3 through April 30, 1997.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 The teachers thought higher of social life(50.5%) and health life(37.3%) amoung the 5 item of child`s living guidance. 58.8% answered `necessary` and 36.3% `very necessary` about nutrition about nutrition education in one`s childhood. As to the participation in nutrition education programs, 28.4% answered `without fail` and 55.9% `will try`. About the meaning of the meal time, 55.4% regarded it as an occasion for the child`s socialization and 30.9% as an opportunity of nutrition education. Looking into their nutrition knowledge scores in four parts, 5 points each, the average totaled 10.9±3.0 : basic nutrition as 2.7±1.2, child`s nutrition as 3.0±1.2, food and cookery as 2.4±1.2, food storage and hygiene as 2.8±0.8. Those teachers who had some experience of participation in nutrition education programs earned 11.0±3.1, while the rest scored 10.3±2.7-no signigicant difference. On the other hand, those teachers who had experience of taking nutrition courses received in school days 11.1±2.9, whereas the rest got 10.6±3.2-no signigicant difference.

저자
  • 소명환 | Myung Hwan So
  • 박상희 | Sang Hee Park
  • 조신호 | Shin Ho Ch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