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반려동물과 생활하는 반려인들을 대상으로 반려동물에 대한 애착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 는 영향을 알아보고, 기본 심리 욕구가 반려동물에 대한 애착과 주관적 안녕감 사이를 매개하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국의 성인 중 반려동물과 생활하는 358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이 중 사용할 수 없는 자료를 제외하고 319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애착의 2차원 모델과(Zilcha-Mano et al., 2011) 자기 결정성 이론(Deci & Ryan, 2012)에 근거하여, 애착 불안과 애착 회피가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더 나 아가 이들 관계의 심층 기제로서 기본 심리 욕구인, 자율성, 유능감, 관계성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결과는 다음과같다. 첫째, 반려동물 애착 회피와 반려동물 애착 불안은 모두 주관적 안녕감과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기본 심리 욕구인 자율성, 유능감, 관계성이 반려동물과의 애착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를 매개하는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특히, 애착 회피와 주관적 안녕감 간 관계를 자율성, 유능감, 관계성이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애착 불안 과 주관적 안녕감 간 관계에서는 자율성만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반려동물과의 애착 회피 또는 애착 불안이 직접적으로 개인의 안녕감에 영향을 미친다기보다 기본 심리 욕구 충족에 관여함으로써 주관적 안녕감에 영 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반려동물과의 관계가 인간의 삶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데 있어 기본 심리 욕구의 충족이 심층 기제가 된다는 사실을 밝혔다는 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study the impact of pet attachment on subjective well-being, focusing on individuals who live with pets. In addition, it is to recognize that their basic psychological requirement mediates between pet attachment and subjective well-being.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performed on 358 adults living with pets nationwide. The final data of 319 people were evaluated after excluding invalid information. Dependent on the theoretical approach of the attachment theory, the human-pet relationship was examined by dividing it into two orthogonal dimensions pet attachment prevention and pet attachment anxiety(Zilcha-Mano et al., 2011). The mediating effects were investigated as an in-depth mechanism that mediates between pet attachment and subjective well-being, the mediating effects were examined, in terms of the three basic psychological needs of Self-Determination Theory, which are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As an outcome, first, pet attachment prevention and pet attachment anxiety both reveal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subjective well-being. Second, basic psychological needs, which are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are mediated between pet attachment and subjective well-being.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t attachment avoidance and subjective well-being. Meanwhile, in the case of pet attachment anxiety, only autonomy among basic psychological needs is fully mediated between pet attachment anxiety and subjective well-being in the case of pet attachment avoidance. This means that pet attachment prevention or pet attachment anxiety correlates with subjective well-being by satisfying basic psychological needs instead of directly affecting personal well-being. Regarding the pet effect, it is meaningful to find an in-depth mechanism that the human-pet relationship has for an adaptive and positive impact on huma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