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참가자 간 상관(Intersubject correlation: ISC)기법을 통해 정서 유발 자극에 대한 한 참가자의 반응과 그 참가자를 제외한 나머지 참가자들의 반응 간 일치성이 각 정서표상 범주(지배가, 각성가, 정서가)와 다양한 감각 양상(청각, 시각, 촉각)에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참가자 간 상관을 계산하기 위해 사용된 데이터 는 참가자들의 청각, 시각, 촉각 자극에 대한 생리 측정치와 정서 평정치로 구성되었으며, 한 참가자의 데이터 세트 와 나머지 참가자들의 데이터 세트의 평균으로 구분한 뒤 가능한 모든 자극 쌍에 대해 상관을 구하는 방식으로 참가 자 간 상관을 계산하였다. 연구 결과, 지배가를 기준으로 재정렬한 데이터 세트에 대한 참가자들의 반응 일치성은 청각 감각양상 조건보다 시각 감각양상 조건에서 높은 ISC 값을 얻었다. 다음으로 각성가로 재정렬한 데이터 세트의 경우 시각 감각양상과 청각 감각양상에서 차이가 있음은 같았지만, 지배가 기준으로 재정렬한 데이터 세트와 결과가 상반되었다. 마지막으로, 정서가를 기준으로 재정렬된 데이터 세트는 모든 감각양상에서 부정적인 데이터 세트들이 긍정적인 데이터 세트보다 참가자들의 반응 일치성이 더 높았다. 모든 데이터 세트에서 정서표상 범주의 높고 낮음 과 상관없이 촉각 감각양상에서 높은 ISC 값을 얻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참가자 간 상관의 다양한 감각양상과 정서 표상에 대한 반응의 일치성이 의미하는 바에 대한 해석을 제시하며, ISC 분석 방법이 참가자 반응의 차이에 대한 패턴을 측정하는 유용한 도구가 될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In this study, we assessed how participants represent various sensory stimuli experiences through behavioral ratings and physiological measurements. Utilizing intersubject correlation (ISC) analysis, we evaluated whether individuals' affective responses of dominance, arousal, and valence differed when stimuli of three modality conditions (auditory, visual, and haptic) were presented. ISC analyses were used to measure the similarities between one participant's responses and those of the others. To calculate the intersubject correlation, we divided the entire dataset into one subject and all other subject datasets and then correlated the two for all possible stimulus pair combinations. The results revealed that for dominance, ISCs of the visual modality condition were greater than the auditory modality condition, whereas, for arousal, the auditory condition was greater than the visual modality. Last, negative valence conditions had the greater consistency of the participants' reactions than positive conditions in each of the sensory modalities. When comparing modalities, greater ISCs were observed in haptic modality conditions than in visual and auditory modality conditions, regardless of the affective categories. We discussed three core affective representations of multiple modalities and proposed ISC analysis as a tool for examining differences in individuals` affective represent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