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서표상에 대한 논의 중 첫 번째는 정서가 차원에서의 정서표상, 두 번째는 감각양상에 따른 정서표상을 설명하는 것이 다. 선행연구에서는 정서표상을 설명하기 위해 정서가 모델(부호 정서가, 비부호 정서가), 감각양상에 따른 정서표상 모델 (감각보편성, 감각특징성)들이 제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에 등장한 ASMR을 이용하여 기존 연구에서 제시된 모델들 을 비교하여 어떠한 모델이 정서표상을 잘 설명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자료는 Kim & Kim(2022) 에서 수집한 3개의 정서유형(부정, 중립, 긍정) 및 2개의 감각양상(청각, 시청각)으로 구분된 ASMR 자극에 대한 정서평정 자료를 사용하였다. 이후, 해당 자료에 대한 다차원척도법, 표상 유사성 분석 및 이원 변량분석, 다중회귀분석 및 이원 변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차원척도법 결과, 비부호 정서가에 비해 부호 정서가, 감각특징성에 비해 감각보편성에서 자극의 정 서유형 간 구분이 잘 이루어졌다. 다차원척도법 결과와 유사하게, 표상 유사성 분석 및 다중회귀분석 결과 또한 비부호 정서가에 비해 부호 정서가, 감각특징성에 비해 감각보편성이 유의하게 정서표상을 잘 설명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정서가 모델 중 1차원의 양극단에 긍정과 부정이 위치하는 모델이 ASMR에 대한 정서표상을 잘 설명하며, 감각양상과 상관없이 정서표상이 일관적임을 시사한다.
Among the discussions on affective representation, the first is to explain the affective representation in the dimensions, and the second is to explain the affective representation according to the modality. In previous studies, to explain affective representation, valence models (signed valence, unsigned valence) and Modality-generality models (modality-general, modality-specific) were presented. In this study, we compared models presented in the previous study using the recently published ASMR to confirm which models explain affective representation well. The data used in this study were behavioral rating values collected by Kim & Kim (2022), and these were obtained for ASMR stimuli that were divided into three affective types (negative, neutral, and positive) and two modalities (auditory and audiovisual). Then, a multidimensional scaling, a representational similarity analysis with a two-way repeated measures ANOVA, an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a two-way repeated measures ANOVA were performed. The results revealed that signed valence and modality-general distinguished between affective types of stimuli better than unsigned valence and modality-specific. Similar to the results of multidimensional scaling, the results of a representational similarity analysis and a multiple regression also showed that the signed valence and modality-general significantly explained affective representation better than the unsigned valence and the modality-specific.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model in which positive and negative are located at the opposite ends of the one dimension explains the affective representation of ASMR well, and that the affective representation was consistent regardless of mod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