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브러싱 자극 토마토 공정묘의 지상부와 지하부 생육 변화 KCI 등재

Changes in Shoot and Root Growth of Tomato Seedlings Stimulated by Brushing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422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생물환경조절학회지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초록

Mechanical stimulation induce the morphological changes in plant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growth changes of tomato seedlings applicated to mechanical stimulation. The brushing treatment was used for mechanical stimulation. The brushing treatment interval was 2 hr using transfer device attached acrylic film from 10 days after sowing. Growth parameter of tomato seedlings were measured 3-day intervals to investigate the growth changes during brushing treatment. The plant height and leaf area were decreased in brushing treatment than the control, and the fresh and dry weights of shoot didn’t hav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ntrol and brushing treatment. The total root length and root surface area were increased in brushing treatment compared than the control, and root volume h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ntrol and brushing treatment.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pplication of brushing treatment on tomato seedling make shorten plant height and well-development root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기계적 자극은 식물체의 형태적 변화를 유도하는 것으로 알 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계적 자극을 적용한 토마토의 육 묘기 동안의 생육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브러싱 처리가 기계적 자극으로 이용되었으며, 아크릴이 부착된 이 송장치를 이용하여 2시간 간격으로 파종 후 10일 이후부터 처 리를 진행하였다. 브러싱 처리 동안 생육 변화를 확인하기 위 해 3일 간격으로 생육을 조사하였다. 초장과 엽면적은 브러싱 처리에서 대조구에 비해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으며 지상부의 생체중과 건물중은 대조구와 유사한 값을 보였다. 총 근장과 지하부 표면적은 브러싱 처리에서 대조구에 비해 증가하였으며, 지하부 부피는 대조구와 브러싱 처리가 유사한 값을 보였 다. 결론적으로 토마토 공정묘에 브러싱 처리는 지상부의 생 육 감소를 유도하였으며 지하부의 형태적 발달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판단된다.

목차
서 론
재료 및 방법
    1. 재배환경 및 브러싱 처리
    2. 생육 조사
    3. 실험설계 및 통계분석
결과 및 고찰
적 요
저자
  • 정현우(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전문연구원) | Hyeon Woo Jeong (RDA Research Associate, Protected Horticulture Researcher Institute, NIHHS, Haman 52054, Korea)
  • 황희성(경상국립대학교 대학원 작물생산과학부 대학원생) | Hee Sung Hwang (Graduate Student, Division of Crop Science, Graduate School of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52828, Korea)
  • 황승재(경상국립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원예과학부 교수, 경상국립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교수, 경상국립대학교 생명과학연구원 교수) | Seung Jae Hwang (Professor, Division of Horticultural Science, Colleg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52828, Korea, Professor,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52828, Korea, Professor, Research Institute of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52828, Korea)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