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영남육괴에 기록된 고원생대 고온조산운동 KCI 등재

Paleoproterozoic Hot Orogenesis Recorded in the Yeongnam Massif,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4244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광물과 암석 (Korean Journal of Mineralogy and Petrology)
한국광물학회 (The Mineralogical Society Off Korea)
초록

영남육괴는 광역적인 고온-저압의 변성작용과 부분용융을 경험한 한반도 지각을 대표하는 기반암 중 하나이다. 이 논문에서는 지금까지 보고된 영남육괴 고온 변성암류에 기록된 백립암상의 변성작용과 부분용융 과정 을 통해 고원생대(1.87-1.84Ga)의 고온조산운동 기록을 살펴본다. 특히 열원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했던, 산청-하동지역 회장암질 마그마를 비롯한 고철질 화성활동과 고온-저압 변성작용 사이의 시공간적 연계는 영남육괴의 광역변 성작용과 지각용융을 이해하는데 필수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지각용융은 주로 함(含)유체 부분용융과 백운모/흑운모의 탈수용융에 의해 발생하였으며, 다양한 형태의 우백대와 우백질 화강암을 형성하였다. 이차이온질량분석기를 활 용한 저어콘과 모나자이트의 암석연대학적 결과는 영남육괴의 고온변성작용과 부분용융이 약 1870-1854Ma의 ~15Ma 기간 동안 지속되었음을 지시한다. 또한, 초기 차노카이트로 대표되는 유체유입 사건이 약 1840Ma에 발생하였다. 이와 같이 영남육괴 내에는 고온변성작용과 부분융용, 그리고 유체유입이라는 고온조산대를 대표하는 일련의 지질사건들이 기록되어 있다. 영남육괴에서 확인된 고온조산대는 북중국 지괴에서 흔히 보고되는 고원 생대 조산운동과 연계되어 있으며, 고원생대 콜럼비아/누나 초대륙 진화의 최후기 산물이리라 판단된다.

The Yeongnam Massif is one of representative basement provinces in the Korean Peninsula, which has experienced high-temperature, low-pressure (HTLP) regional metamorphism and partial melting. Here we reviewed recent developments in Paleoproterozoic (1.87-1.84 Ga) hot orogenesis of the Yeongnam Massif, typified by the granulite-facies metamorphism and partial melting recorded in the HTLP rocks. In particular, spatiotemporal linkage between the metamorphic and magmatic activities, including the Sancheong-Hadong anorthositic magma as a heat source, provides a key to understand the widespread HTLP metamorphism and partial melting in the Yeongnam Massif. Crustal anatexis, resulting from the fluid-present melting and muscovite/biotite dehydration melting, has yielded various types of leucosomes and leucogranites. Zircon and monazite petrochronology, using in-situ U(-Th)-Pb data from the secondary ion mass spectrometry, indicates that the HTLP metamorphism and anatexis lasted over a period of ~15 Ma at ca. 1870-1854 Ma. In addition, a fluid influx event at ca. 1840 Ma was locally recognized by the occurrence of incipient charnockite. Taken together, the Yeongnam Massif preserves a prolonged evolutionary record of the HTLP metamorphism, partial melting, and fluid influx diagnostic for a hot orogen. Such an orogen is linked to the Paleoproterozoic orogeny widespread in the North China Craton, and most likely represents the final phase of crustal evolution in the Columbia/Nuna supercontinent.

목차
요 약
Abstract
서 론
지질개요
고온변성작용의 기록
회장암질 화성활동과의 연계
영남육괴의 고원생대 지각진화사:고온조산운동
사 사
REFERENCES
저자
  • 이유영(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환경분석연구부) | Yuyoung Lee (Research Center for Geochronology and Isotope analysis, Korea Basic Science Institute, Cheongju 28119, Korea) Corresponding Author
  • 조문섭(전 서울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 Moonsup Cho (School of Earth and Environmental Science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08826,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