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행위예술의 관점에서 본 예수의 비언어적 표현들: 선교적 행위예술의 신학적 규정을 위한 한 시도 KCI 등재

Nonverbal Expressions of Jesus from the Perspective of Performance Art: an Attempt at a Theological Definition of the Missional Performance Ar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448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9,000원
선교신학 (Theology of Mission)
한국선교신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ission Studies)
초록

이 논문은 현대예술과 현대 선교신학이 추구하는 ‘참’(본질)의 의미로서 개인과 사회의 아름다운 삶을 위한 미적 실천의 관점이 짙은 연구 글이다. 먼저 현대예술은 예술철학적 관점에서 개인의 삶과 공동 사회를 아름답게 만들고, 덕을 세우는 등 진정한 사랑에 기인한 예술적 추구야말로 본질적 예술미로 규정한다. 또한, 현대 선교신학은 예전 중심의 예배를 넘어 인자와 공의가 실현되는 하나님 나라 복음의 실천으 로서 삶의 예배를 강조한다. 그러나 현대 기독교의 예술선교는 상황화 관점을 견지하면서도 실용성, 방법론, 문화 상대성 중심의 타문화 선교전략을 강구하고 있다. 이는 그 출발점이 현지인을 통한 선교전략 으로 보기에는 어렵다. 이런 이유로 이 논문은 행위예술의 관점에서 문화적 정서나 다름을 초월하여 자국민의 삶에 나타나는 일상 행위와 존재 방식이 어떠할 때 선교적 의미를 드러내고, 그 기능을 수행하는지 를 연구한 것이다. 곧 ‘선교적 행위예술’(missional performance art)이란, 하나님의 본질적 미(美)를 구현하는 행위로서 그 신학적 기준은 1) 본질적 창조성, 2) 생명적 회복성, 3) 육화적 전인성, 4) 증언적 복음성, 5) 지속적 혁신성, 6) 초월적 현재성이라는 요소를 지닌다.

This study is an aesthetic practice research for the beautiful life of the individual and society that is related to the meaning of essence pursued by Modern Missiology. However, Modern Art mission still seeks for other culture mission strategies. This thesis is a study about the everyday conduct and modes of existence that appear in the lives of its citizens. When it has a missional meaning and play a functional role. Therefore I would like to theologically identify what key elements are needed for universal acts to become Missional Performance Art as an existential worship through this study. There are six key elements: Essential Creativity, Vital Resiliency, Incarnate Wholeness, Testimonial Evangelism, Continuous Innovation, and Transcendental Presentness.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행위예술의 현대적 이해: 참된 미를 향한 여정
Ⅲ. 행위예술의 선교신학적 이해
    1. 복음적 실존으로서의 창조예술
    2. 에스겔의 예언자적 행위예술, 재현을 넘어 현존으로
    3. 예수의 그리스도적 행위예술
Ⅳ. 마가복음과 누가복음에 나타난 예수 행위의선교적 분석
Ⅴ. 선교적 행위예술의 신학적 규정을 위한 핵심 요소
    1. 본질적 창조성
    2. 생명적 회복성
    3. 육화적 전인성
    4. 증언적 복음성
    5. 지속적 혁신성
    6. 초월적 현재성
Ⅵ. 나가는 말
저자
  • 김신구(고성중앙교회 담임, 목회와 교회운동) | Shingu Kim (Th.D. Seoul Theological University)
같은 권호 다른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