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복합 규칙성을 가진 구조물의 효과적인 해석을 위한 다단계 균질화기반 해석 프레임워크 KCI 등재

Multilevel Homogenization-Based Framework for Effective Analysis of Structures with Complex Regularit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457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전산구조공학회 논문집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한국전산구조공학회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초록

Because of the development of computational resources, an entire structure in which many components are combined can be analyzed. To do so, the calculation time and number of data points are increased. In many practical industry structures, there are many parts with repeated patterns. To analyze the repetitive structures effectively, a homogenization method is usually employed. In a homogenization module, including commercial programs, it is generally assumed that a unit cell is repeated in all directions. However, the practical industry structures usually have complicated, repeated patterns or structures. Complicated patterns are difficult to address using the conventional homogenization method. Therefore, in this study, a multilevel homogenization method was devised to consider complex regularities. The proposed homogenization method divides the structure into several areas and performs multiple homogenizations, resulting in a more accurate analysis than that provided by the previous method.

전산 자원의 발달로 여러 부품들이 결합된 전체 구조물에 대한 해석이 가능해져 해석에 필요한 계산 시간과 데이터의 양이 증가하 였다. 이러한 전체 구조물에는 같은 부품이 반복되어 규칙성을 가지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반복적인 구조물에 균질화 기법을 적용하 면 효과적인 해석이 가능하다. 상용 프로그램의 일반적인 균질화 모듈에서 단위 구조는 모든 방향으로 반복된다고 가정한다. 하지만 실제 구조물들은 여러 단위 구조가 복잡하게 반복되는 경우가 많아 기존 균질화 기법을 적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복 잡한 반복성을 고려하는 다단계 균질화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균질화 기법은 구조물을 여러 영역으로 나누어 균질화를 수행하는 형태로 기존 기법보다 정확한 해석이 가능하다.

목차
1. 서 론
2. 수 식
3. 제안된 균질화 기법
    3.1 다단계 균질화 기법
    3.2 반복구조의 방향성 고려
4. 수치 예제
    4.1 단일 균질화 결과
    4.2 기존 기법과 제안된 기법의 결과 분석
5. 결 론
감사의 글
저자
  • 전영재(금오공과대학교 기계공학과 석사과정) | Youngjae Jeon (Graduate Student, Department of Mechanical Engineering, Kumoh National Institute of Technology, Gumi, 39177, Korea)
  • 장완재(금오공과대학교 기계공학과 석사과정) | Wanjae Jang (Graduate Student, Department of Mechanical Engineering, Kumoh National Institute of Technology, Gumi, 39177, Korea)
  • 장성민(금오공과대학교 기계설계공학과 조교수) | Seongmin Chang (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Mechanical Design Engineering, Kumoh National Institute of Technology, Gumi, 39177, Korea)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