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딥러닝을 이용하여 진동 응답 기반 비선형 변환 접근법을 적용한 단일 랩 조인트의 접착 면적 탐지 시스템 KCI 등재

Adhesive Area Detection System of Single-Lap Joint Using Vibration-Response-Based Nonlinear Transformation Approach for Deep Learning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458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전산구조공학회 논문집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한국전산구조공학회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초록

A vibration response-based detection system was used to investigate the adhesive areas of single-lap joints using a nonlinear transformation approach for deep learning. In industry or engineering fields, it is difficult to know the condition of an invisible part within a structure that cannot easily be disassembled and the conditions of adhesive areas of adhesively bonded structures. To address these issues, a detection method was devised that uses nonlinear transformation to determine the adhesive areas of various single-lap-jointed specimens from the vibration response of the reference specimen. In this study, a frequency response function with nonlinear transformation was employed to identify the vibration characteristics, and a virtual spectrogram was used for classification i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based deep learning. Moreover, a vibration experiment, an analytical solution, and a finite-element analysis were performed to verify the developed method with aluminum, carbon fiber composite, and ultra-high-molecular-weight polyethylene specimens.

본 연구는 딥러닝을 위한 비선형 변환 접근법을 사용하여 Single-lap joint의 접착 영역을 조사하기 위한 진동 응답 기반 탐지 시스템 을 제시한다. 산업 혹은 공학 분야에서 분해가 쉽지 않은 구조 내에 보이지 않는 부분의 상태와 접착된 구조의 접착 부위 상태를 알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는 비선형 변환을 이용하여 기준 시편의 진동 응답으로 다양한 시편의 접착 면적을 조사하는 탐지 방법을 제안한다. 이 연구에서는 CNN 기반 딥러닝으로 진동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비선형 변환을 적용한 주파 수 응답 함수를 사용했고 분류를 위해 가상의 스펙트로그램을 사용했다. 또한, 제시된 방법을 검증하기 위해 알루미늄, 탄소섬유복합 재 그리고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시편에 대한 진동 실험, 분석적 해,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했다.

목차
1. 서 론
2. 연구 방법
    2.1 실험 및 시뮬레이션 방법
    2.2 진동 실험 방법
    2.3 외팔보의 분석적 해
    2.4 유한요소해석
    2.5 접착 면적 탐지 방법
3. 접착 면적 탐지 시스템 구성
    3.1 접착 면적 탐지 기준: 알루미늄 시편
    3.2 접착 면적 탐지 대상: 탄소섬유복합제 시편
    3.3 접착 면적 탐지 대상: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시편
4. 결 론
감사의 글
저자
  • 김민제(한양대학교 기계공학부 석사과정) | Min-Je Kim (Graduate Student, Department of Mechanical Engineering, Hanyang University, Seoul, 04763, Korea)
  • 김동윤(한양대학교 기계공학부 박사과정) | Dong-Yoon Kim (Graduate Student, Department of Mechanical Engineering, Hanyang University, Seoul, 04763, Korea)
  • 윤길호(한양대학교 기계공학부 교수) | GilHo Yoon (Professor, Department of Mechanical Engineering, Hanyang University, Seoul, 04763, Korea)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