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농촌경관 시스템 분석을 통한 탄소중립 자연기반해법 전략 KCI 등재

Nature-based Solutions through Analysis of Carbon Neutral Rural Landscape System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507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휴양및경관연구 (Journal of Recreation and Landscape)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Institute of Recreation and Landscape Planning)
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structure of the existing rural landscape system from the perspective of carbon flows. It proposed nature-based solutions for the transition to a carbon-neutral rural landscape. The rural landscape system comprises three sub-systems: productive, natural, and living. Each sub-system was analyzed using a causal loop diagram, and the results were integrated. The integrated causal map analysis showed that a nature-based solution strategy was needed to manage land use and human activities and rebuild feedback loops. Based on this, four nature-based solutions were proposed: carbon farming for soil organic carbon conservation, carbon sink landscape management, climate-smart agriculture, and renewable energy-based circular agricult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meaningful in that they deviated from the existing production-oriented carbon neutrality policy for rural areas, identified the overall carbon flows in the rural landscape system, and proposed nature-based solutions.

본 연구는 탄소 흐름 관점에서 기존 농촌경관 시스템 구조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탄소중립 농촌경 관으로 전환하기 위한 자연기반해법을 제시하였다. 농촌경관 시스템은 생산경관, 자연경관, 생활경 관 하위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각 하위 시스템을 인과지도 작성하고 이를 통합하였다. 통합 인과지도를 분석한 결과, 토지 이용 및 인간 활동 관리와 피드백 루프의 재구축을 위한 자연기반해법 전략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본 연구는 ‘토양유기탄소 보존을 위한 탄소 농 업’, ‘탄소 흡수원 경관 관리’, ‘기후스마트 농업’, 그리고 ‘신재생에너지 기반 순환 농업’을 제안하였 다. 본 연구 결과는 기존 생산과정 중심의 농촌지역의 탄소중립 정책에서 벗어나 농촌경관 시스템의 전반적인 탄소 흐름을 확인하여 자연기반해법을 제시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목차
1. 서론
2. 연구방법
    2.1 시스템 사고
    2.2 시스템 범위 설정
    2.3 자료 수집
    2.4 탄소중립을 위한 농촌지역의 자연기반해법 전략
3. 결과 및 고찰
    3.1 기존 농촌경관 시스템
    3.2 통합 농촌경관 시스템
    3.3 탄소 중립 농촌경관 시스템 구축을 위한 자연기반해법
4. 결론
저자
  • 김민(고려대학교 오정리질리언스연구원) | Min Kim (OJeong Resilience Institute, Korea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