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도시공원의 자연교육기능 향상을 위한 계획 지표의 중요도 분석 KCI 등재

An Analysis of the Importance of Planning Indicators for Improving the Nature Education Function of Urban Park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507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휴양및경관연구 (Journal of Recreation and Landscape)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Institute of Recreation and Landscape Planning)
초록

In this study,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basic data that can be practically used in planning and designing urban parks by deriving planning indicators related to nature education functio ns in urban parks and analyzing the priorities of those indicator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As a result of literature analysis, 16planning indicators related to the nature education function of city parks were derived, and they were again classified into upper categories such as user behavior indicators, flow indicators, vegetation indicators, topographic indicators, and spatial indicators. As a result of conduc ting a survey targeting experts, 79.24%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it is necessary for nature educatio n. As a result of the hierarchical analysis of the nature education function planning indicators of urban parks, it was found that the upper planning indicators are important in the order of traffic flow indicators, topographical indicators, user behavior indicators, vegetation indicators, and spatial indicators. The sub-p lanning indicators appeared in the order of eco-friendliness, topographical naturalness, satisfaction of expressive desire, satisfaction of intellectual desire, and cooperative space, and information sign format and vegetation abundance were ranked the lowest. Currently, research on nature education in city parks is focused on developing nature education programs, but this paper selected actual case sites and sought a methodology for improving nature education functions in city parks. has significance in However, contrary to the opinions of experts, it has a limitation that it did not include survey analysis of the general public who actually use the park, and it is necessary to conduct survey analysis targeting the general public in future research.

본 연구에서는 도시공원 내 자연교육기능과 관련된 계획 지표들을 도출하고 해당 지표들에 대한 우선 순위를 분석함으로써 도시공원 계획 및 설계 시 실질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 해 보는데 가장 큰 목적을 두었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문헌분석 결과 도시공원의 자연교육 기능과 관련된 계획지표 16개를 도출하였고 다시 이용자 행동 지표, 동선지표, 식생지표, 지형지표, 공간지표 등의 상위 항목으로 분류하였다.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자연교육 필요도에 대하 여 응답자의 79.24%가 필요하다 답하였다. 도시공원의 자연교육기능 계획지표에 대한 계층분석 결과 상위 계획지표는 동선지표, 지형지표, 이용자행위 지표, 식생지표, 공간지표 순으로 중요하다는 결과 가 나타났다. 하위 계획지표는 친환경성, 지형 자연성, 표현욕구 충족, 지적욕구 충족, 협동 공간 순으로 나타났으며, 안내표지판 형식, 식생 풍부도가 가장 낮은 순위로 나타났다. 현재 도시공원에서의 자연교 육에 대한 연구는 자연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에 집중되어 있는 실정이지만 본 논문은 실제 사례 지를 선정하고 이를 대상으로 도시공원 내 자연교육기능 향상을 위한 방법론을 모색해 보았다는 점에 서 의의가 있다. 하지만 전문가들의 의견과는 달리 실제 공원을 이용하는 일반인들에 대한 설문분석을 포함하지 못하였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으며, 향후 연구에서는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설문분석을 수행 할 필요가 있다.

목차
1. 서론
2. 이론적 고찰
    2.1 자연결핍장애
    2.2 자연교육
3. 연구방법
    3.1 계획지표 선정
    3.2 설문분석
    3.3 실 사례지 적용을 통한 개선방안 설정
4. 결과 및 고찰
    4.1 계획지표 선정
    4.2 설문분석
    4.3 실 사례지 적용을 통한 개선방안 설정
5. 결론
저자
  • 왕챠오챠오(경북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Wang Qiaoqiao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권오성(울산연구원 안전환경연구실) | Ohsung Kwon (Div. of Safety&Environmental Research, Ulsan Research Institute) Corresponding author
  • 김진효(경북대학교 조경학과) | Jinhyo Kim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나정화(경북대학교 조경학과) | Junghwa Ra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