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팬데믹 전후 국제항공여객 운송시장의 CO2 배출 시공간 패턴 분석 KCI 등재

Exploring the Spatio-temporal Patterns of Carbon Emissions in the International Aviation Marke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547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100원
한국지도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한국지도학회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초록

이 연구는 팬데믹(pandemic) 전후 국제항공여객 운송시장을 대상으로 항공편 운항에 의한 CO2 배출 특성과 변화를 체계적으 로 파악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19년과 2021년 2분기 전 세계 국제여객 항공편 스케줄 데이터를 기반으로 ICAO(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의 CERT(CO2 Estimation and Reporting Tool) 인벤토리를 이용하여 노선 단위의 CO2 배출량을 추정한 후, 노선의 대권 거리와 항공기의 크기를 기준으로 구분된 하부시장에 따른 CO2 배출량과 배출 효율성의 분포와 변화를 비교분석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21년 2분기 전 세계 국제항공여객 운송시장의 CO2 배출량은 약 31.6백만 톤으로 추정되었으며. 2019년 동 분기(117.95백만 톤) 대비 약 73.21% 감소하였다. 두 시기 모두 5,000km 이상의 장거리 시장, 그리고 100~400석 항공기 운용 시장에서의 배출량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다만 팬데믹 기간에는 5,000km 이상, 그리고 400석 이상 항공기 시장에서 CO2 배출량의 감소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둘째, 2021년 2분기 시장의 CO2 배출 효율성은 2019년 동 분기 대비 약 4% 향상되었다. 두 시기 모두 노선의 대권 거리와 항공기의 크기가 증가할수록 배출 효율성이 감소하는 경향이 존재하였으며, 팬데믹 기간 중 일부 하부시장에서는 구형 및 초대형 기종들의 운항 감축(혹은 중단)이 두드러짐에 따라 배출 효율성이 향상되기도 하였다. 마지막으로 팬데믹 전후 주요 국제노선들의 CO2 배출 효율성 변화를 탐색한 결과, 글로벌 허브 공항들을 연결하는 대륙 간 장거리 노선들을 중심으로 효율성이 낮게 나타난 반면, 차상위 계층 공항들과 연결된 일부 노선들, 그리고 동남아・동북아의 주요 공항들을 연결하는 역내 노선들은 상대적으로 효율성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팬데믹 전후 전 세계 국제항공여객 운송시장의 운영 실적과 CO2 배출에 대한 세부 특성과 변화를 실증적으로 분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characteristics of CO2 emissions patterns by flight operations in the international aviation markets before and after the COVID-19 pandemic. CERT (CO2 Estimation and Reporting Tool) inventory of ICAO is utilized to estimate CO2 emissions of international passenger flight schedules for the second quarter of 2019 and 2021, then we analyze the distributions and changes among submarkets divided by great circle distance and aircraft size of flight route.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volume of CO2 emissions in the international aviation markets decrease by approximately 73.21% in 2021(about 31.6 million tons), compared to 2019 (31.6 million tons). In both of the periods, CO2 emissions are commonly dominated by the long-haul (over 5,000 kilometers) and the 100-400 seat aircraft operation markets. But reductions of CO2 emissions are more remarkable in the 5,000+ km and 400+ seat aircraft markets than others during the pandemic. Second, the efficiency of CO2 emissions is improved by approximately 4% from 2019 to 2021. We find that the efficiency tends to decrease as route distance and aircraft size increase. And we observe some submarkets of which efficiencies are improved during the pandemic due to the reduced (or ceased) operations of old and large aircraft. Finally, we explore the changes in the CO2 emissions efficiencies of trunk routes in both of the periods, and find that long-haul routes connecting global hub airports tend to have lower efficiencies than the market average, while efficient routes are mainly observed in some routes from second-tier airports in Western Europe and in regional routes connecting hub airports in Southeast- and Northeast-Asia.

목차
요약
Abstract
I. 서론
II. 선행연구 검토
    1. 항공운송시장의 CO2 배출량 추정
    2. 항공사의 항공기 운용과 CO2 배출 특성
III. 연구방법 및 데이터
    1. CERT를 이용한 국제항공 운송시장의CO2 배출량 추정
    2. 연구 데이터
IV. 분석결과
    1. 전 세계 국제항공여객 운송시장의 세부현황 분석
    2. 전 세계 국제항공여객 운송시장의 CO2배출 현황 분석
    3. 주요 국제 노선들의 탄소 배출 효율성분석
V. 결론 및 제언

감사의 글
참고문헌
저자
  • 박용하(전북대학교 지리교육과 조교수) | Yongha Park (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College of Education, Jeonbuk National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