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글로벌 회사채 신용위험에 대한 시장지표의 선행성 분석 - 글로벌기업 부도확률에 대한 신용스프레드의 시그널링 효과 추정을 중심으로 - KCI 등재

A Study on the Early Warning Effect of a Market Indicator for the Credit Risk Changes of Global Corporate Bond Portfolio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547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700원
국제경영연구 (International Business Journal)
한국국제경영학회 (Korean Academy of International Business)
초록

본 연구에서는 글로벌 회사채 포트폴리오의 신용위험(부도확률지표)에 대한 신용스프레드(OAS: 시장지표)의 선행성 여부 및 선행성 정도를 분석하였다. 두 지표를 회귀변수로 하는 시차상관성 분석 및 패널 회귀분석 결과 회사채 신용위험에 대해 시장지표가 유의한 선행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시장을 통해 신용위험 변화를 실시간 반영하는 시장지표가 해당 회사채의 신용위험 변화를 빠르게 포착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일일 데이터로 측정한 시장지표의 신용위험 시그널링 효과는 신용스프레드가 대체로 0.5개월 이후의 부도확률 악화를 가장 잘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장상황에 따라서도 선행성의 크기가 달리 나타났는데, 시장스트레스 시기일수록 높 은 변동성으로 인해 신용위험 변화에 시장지표가 더 민감하게 반응함으로써 동 시그널링 효과가 더 큰 것으로 분 석되었다. 금융복합성 증가 등으로 시장위험과 신용위험간 경계가 모호해지는 최근 흐름을 감안할 때 시장지표의 활용을 통해 신용리스크관리의 선제적 대응력을 높일 필요성이 더욱 커졌으며, 특히 시그널링 효과가 큰 시장스 트레스기 일수록 시장지표의 활용에 무게를 둘 필요가 있다.

This paper investigates whether the market indicator(OAS: Option Adjusted Spreads) early warns the global corporate bond’s credit risk(DP: Default Probabilities) changes and, if it is true, how much and in which horizons it signals the credit deterioration. As a result of time lagged and panel regression analysis, it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at daily OAS changes precede DP changes in a half month horizon. This is mainly because the market indicator reflects the bond’s credit risk changes on almost real time through the market dynamics. It also supported that the market indicator’s signaling benefit is more evident in market stressed times as the market volatility and credit sensitiveness tends to be higher during those times. These findings implies that the usage of market indicator in credit risk management becomes more appealing in recent times when the market risk and credit risk is more mixed, and in market stressed times when the market indicatior’s early warning benefit tends to be more attractive.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및 가설 도출
    2.1 주요 선행연구
    2.2 가설 도출
Ⅲ. 분석모형 및 방법
    3.1 표본 변수
    3.2 실증분석 모델 및 변수
Ⅳ. 분석 결과
    4.1 시차상관성 회귀분석 결과
    4.2 패널 회귀분석 결과
Ⅴ. 결 론
    5.1 주요 논점 요약
    5.2 공헌점 및 한계점
References
Abstract
저자
  • 최재용(한국은행 연구조정역(1급)) | Jae Yong Ch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