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미디어를 활용한 글로벌 문화 학습에 대한 학습자 인식과 반응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Global Culture Learning Using Media and Learners’ Perceptions and Respons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554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300원
한국과 국제사회 (Korea and Global Affairs)
한국정치사회연구소 (Korea Institute of Politics and Society)
초록

본 연구는 전 세계가 하나가 되는 초연결주의와 다문화로 대변되는 현 대 사회의 흐름에 맞추어 글로벌 문화에 대한 관심과 이해를 넓힐 필요 성이 있다는 자각에서 시작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글로벌 문화 교육 을 위한 구체적인 수업 절차와 수업 활동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학습자 반응과 인식을 고찰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다양한 미디어에 반 영되어 있는 글로벌 문화 관련 주제를 8개 선정하였고 각 주제별로 학습 자들이 비판적으로 사고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학습자 참여 중심의 수업 을 진행하였다. 글로벌 문화 내용과 수업 활동, 문화 수업을 위한 수업 방식에 대한 학습자들의 반응을 파악하기 위해 설문 조사와 의견 메모 활동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학습자들은 다양한 미디어를 활용한 수업 방식에 만족도가 높았으며(76%) 이에 대한 이유는 학습자 참여 수업, 다 양한 매체 활용, 체계적인 수업 구성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문화 수업 내 용과 수업 활동에 대한 만족도는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92%) 이에 대한 이유는 문화 학습에 유익함, 흥미롭고 재미있음, 영어 학습에도 유익함으 로 나타났다. 교수자들은 학습자들의 글로벌 역량을 증진시키기 위해 글 로벌 문화 교육을 위한 다양한 수업 활동의 구상을 위해 정진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presents specific class procedures and activities used for global cultural education and examines learners’ responses and perceptions towards them. The researcher selected eight topics related to global culture reflected in various media and conducted classes oriented toward learner participation. A survey and opinion memo activity were conducted to understand the learners’ responses to global cultural content, class activities, and teaching methods for cultural class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learners were highly satisfied with the class method (76%) due to its use of learner participation classes, a variety of media, and systematic class compositions. Their satisfaction with the class content and activities was very high (92%) as they found it interesting and fun as well as beneficial for both cultural learning and English learning. Based on these findings, instructors of global cultural education should be encouraged to design a variety of class activities to enhance their learners’ global competency.

목차
논문요약
Ⅰ. 서론
Ⅱ. 선행 연구
Ⅲ. 연구방법
    1. 연구의 기간과 연구 대상
    2. 연구 절차
    3. 연구 평가
Ⅳ. 연구 결과 및 분석
    1. 수업 방식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
    2. 글로벌 미디어 문화 수업 내용 및 수업 활동에 대한 만족도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김혜정(국민대학교) | HyeJeong Kim (Kookmin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