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중국대학 교수의 그릿, 직무만족도, 교사효능감, 소통 능력 간의 구조적 관계 : 산시성(山西省) 대학교수를 중심으로 KCI 등재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Grit, Job Satisfaction, Teacher Efficacy, and Communication Skills : Focusing on University Professors in Shanxi Province, Chin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556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8,000원
한국과 국제사회 (Korea and Global Affairs)
한국정치사회연구소 (Korea Institute of Politics and Society)
초록

본 연구는 중국 산시성(山西省)에 있는 대학 교수를 대상으로 교수의 그릿, 직무만족도, 교사효능감, 소통능력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을 목적 으로 한다.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중국 대학교수의 그릿, 교사효능 감, 소통능력, 직무만족도의 수준은 어떠한가? 변수 간의 상관관계는 어 떠한가?, 중국 대학교수의 그릿, 교사효능감, 소통능력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은 어떠한가?, 중국 대학교수의 그릿과 직무만족도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과 소통능력의 부분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분석 결 과, 연구 변인 중에 그릿(M=3.288)의 평균이 가장 높은 수준이었으며 직 무만족(M=3.119), 교사효능감(M=3.102), 소통능력(M=3.042) 순서로 나타 났다. 변인 간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에서는 중국 대학 교수들의 그릿, 교 사효능감, 소통능력 및 직무만족 간에 모두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중국 대학 교수의 그릿은 교사효능감, 소통능력, 직무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그릿은 교사효 능감과 소통능력을 통해 직무만족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교수의 그릿을 향상시키는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실행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제안하였다. 이는 교수들의 교수 효능감과 소통능력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되어, 결국 직무만족도의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보기 때문이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inherent factors of professors, namely grit, teacher efficacy, communication skills, and job satisfaction, in the context of universities in Shanxi province, China. To summarize the research findings, grit (M=3.288) had the highest overall mean, followed by job satisfaction (M=3.119), teacher efficacy (M=3.102), and communication skills (M=3.042). Moreover, a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confirmed the existence of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grit, teacher efficacy, communication skills, and job satisfaction among Chinese university professors. As for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it was found that the grit of Chinese university professors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their teacher efficacy, communication skills, and job satisfaction. The analysis of the third research question showed that grit indirectly affects job satisfaction through teacher efficacy and communication skills.

목차
논문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그릿(GRIT)
    2. 소통능력
    3. 교사효능감
    4. 직무만족도
Ⅲ. 연구방법
    1. 연구설계
    2. 측정도구
    3. 자료분석 방법
Ⅳ. 분석결과
    1. 인구통계특성
    2. 측정변인의 기술통계량 및 상관관계 분석
    3. 연구문제 검증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려반(가톨릭대학교) | Lyu Pan (Catholic University)
  • 김경이(가톨릭대학교) | Kim Kyung Yee (Catholic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