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탄소중립형 바이오수소 생산 및 분리막기반 정제 기술 소개 KCI 등재

Biohydrogen Generation and Purification Technologies for Carbon Net Zero

  • 언어ENG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558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500원
멤브레인 (Membrane Journal)
한국막학회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초록

본 총설은 탄소중립 및 에너지순환을 실현하기 위한 재생에너지로부터 그린수소 생산 전략 중 하나인 바이오수소 생산 및 정제법에 관해 소개하고자 한다. 바이오수소는 생물질과 미생물과 같은 재생에너지원을 이용하며, 상온 및 상압 등의 마일드한 실험조건에서 작동하여 에너지소비 및 공정비용이 적게 드는 친환경 공정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바이오 수소를 상업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해결해야 할 중요한 도전적인 과제가 존재한다. 특히, 바이오수소는 생물반응기내의 복합한 화학반응으로 합성되어, 낮은 수소생산 속도 및 반응기내 다양한 혼합물이 존재하여, 바이오수소 고순도화를 위해서 연속공정 형태의 분리 및 정제 기술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를 위해, 저온 증류법, 압력 흡착법, 분리막법 등을 비롯한 다양한 분리 및 정제 기술이 고순도 바이오수소를 얻기 위해 제안되었다. 본 총설에서는 바이오수소 생산 및 정제 연계화를 위한 비 다공성 고분자 분리막의 가능성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H2 generation from renewable sources is crucial for ensuring sustainable production of energy. One approach to achieve this goal is biohydrogen production by utilizing renewable resources such as biomass and microorganisms. In contrast to commercial methods, biohydrogen production needs ambient temperature and pressure, thereby requiring less energy and cost. Biohydrogen production can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particularly the emission of carbon dioxide (CO2). However, it is also associated with significant challenges, including low hydrogen yields, hydrodynamic issues in bioreactors, and the need for H2 separation and purification methods to obtain high-purity H2. Various technologies have been developed for hydrogen separation and purification, including cryogenic distillation, pressure-swing adsorption, absorption, and membrane technology. This review addresses important experimental developments in dense polymeric membranes for biohydrogen purification.

목차
요 약
Abstract
1. Introduction1
2. Biohydrogen-generation Methods
3. Biohydrogen-purification Technologies
4. Polymeric Membranes for BiohydrogenSeparation
5. Organic-based Membrane Reactor forBiohydrogen Separation
6. Conclusions
Acknowledgments
Reference
저자
  • 김효원(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 에너지공학부, 켄텍 환경기후기술 연구소) | Hyo Won Kim (Department of Energy Engineering, Korea Institute of Energy Technology, KENTECH Laboratory for Environmental & Climate Technology, Korea Institute of Energy Technolog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