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한국의 혁신 생태계: 진화 과정과 차세대 모델에 대한 탐색 KCI 등재

Innovation Ecosystem of Korea: Its Evolution Process and Exploring The Next Model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561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8,600원
기술혁신연구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기술경영경제학회 (The Korea Society for Innovation Management & Economics)
초록

한국 혁신 생태계는 후발 추격자에서 ‘민간 주도의 건강하고 역동적인 생태계 조성을 위한 정부의 역할이 중요한’ 창조적 선도자 단계로 진화해 왔다. 한국의 혁신 생태계는 그동안의 획기적인 발전과 양적 확대에도 불구하고 혁신 성과의 정체 현상, 생태계 내 및 글로벌 연계 활동의 부족 등을 보여주고 있다. 미래 지향적인 혁신 생태계 조성을 위한 차세대 혁신 생태계 모델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기존의 이론적 근거를 바탕으로 혁신 생태계의 바탕을 이루는 것이 기업간 네트워크라는 관점에서 차세대 혁신 생태계의 요소로 기업간 네트워크 외에, 기업 역량, 공공 연구기관, 민간 산업단체, 기술 인프라, 정책 주체를 바탕으로 5개 요소를 설정하고, 불연속적 기술 및 시장 변화에 부응하는 ‘민간 주도의 건강하고 역동적인’ 혁신 생태계로서의 차세대 혁신 생태계 모델을 제시하였고 혁신 생태계구축 역할을 담당하는 정책 주체의 구체적인 방향을 제시하고, 본 연구의 의의를 제시하였다.

The Korean innovation ecosystem has evolved from a catch up stage to a creative leader stage where government's role in creating a private sector driven, healthy and dynamic ecosystem is important. Korea's innovation ecosystem shows a stagnation of innovation performance and a lack of linkage activities within the national innovation ecosystem and in global cooperation, despite the dramatic advancement and expansion of the ecosystem. A next-generation innovation ecosystem model is required to create a future-oriented innovation ecosystem. The next generation innovation ecosystem was prepared on the basis of the framework, which has 6 elements among which inter-firm network is the the micro-foundation of the ecosystem. On the basis of the framework, assuming that the next generation innovation ecosystem is the evolved existing ecosystem, responsive the discontinuous change in market and technology, which is private sector driven healthy and dynamic ecosystem, the next generation innovation ecosystem model was created. The concrete details on the direction of the policy entities responsible for building the ecosystem was presented, and the contribution of this study was discussed.

목차
국문초록
Abstract
Ⅰ. 서 론
Ⅱ. 한국의 혁신생태계 변화
Ⅲ. 한국 혁신생태계의 한계
Ⅳ. 차세대 혁신 생태계 모델 논의 틀: 가치 네트워크를중심으로
    1. 기업 간 네트워크
    2. 기업 역량
    3. 공공 연구기관
    4. 민간산업단체
    5. 기술 인프라
    6. 정책 주체
    7. 차세대 혁신 생태계 모델 도출 접근
Ⅴ. 차세대 혁신 생태계 모델
    1. 기업 간 네트워크
    2. 기업 역량
    3. 공공 연구기관
    4. 민간 산업단체
    5. 기술 인프라
    6. 정책 주체
    7. 한국 차세대 혁신 생태계 요약
Ⅵ. 결 론
참 고 문 헌
저자
  • 이정원(과학기술정책연구원 명예연구위원) | Lee Jungwon
  • 임채성(건국대학교 경영대학 교수) | Lim Chaisung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