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서식지 적합 지수를 이용한 자란만 굴(Crassostrea gigas)의 어장적지평가 KCI 등재

Site Suitability Assessment Using the Habitat Suitability Index for Oyster (Crassostrea gigas) in Jaran Bay,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581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해양환경안전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and Safety)
해양환경안전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초록

굴은 패류 양식생산량 중 가장 큰 비율(평균 76%)을 차지하는 중요한 양식생물이다. 본 연구에서는 자란만의 굴 양식장에 대 해, 수온, 염분, 해수 유동, DO, SS, Chl.a를 어장적지평가 인자로 활용한 서식지 적합 지수(Habitat Suitability Index, HSI)를 산정하여 최적 서 식지를 탐색하였다. 조사결과 만 입구가 넓고 해수 유속이 빠르게 나타난 대상해역 남동쪽에서 만 내측으로 갈수록 적합한 서식지로 나 타났고, 굴의 생산량과 본 연구의 HSI는 0.710(p<0.05)의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 만 내의 원활한 해수 교환으로 먹이공급 등 양식생물 성 장에 도움을 주는 해수 유동은 굴 생산량과 높은 상관성(0.709, p<0.05)을 보여 Chl.a보다 서식 적합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 났다. 본 연구 결과는 양식장 재배치 등 효율적인 연안어장 보전, 이용과 관리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Oysters are an important organism, accounting for an average of 76% of shellfish aquaculture production. In this study, optimal habitat was searched for by calculating the Habitat Suitability Index (HSI) using water temperature, salinity, hydrodynamics, DO, SS and Chl.a in Jaran Bay. As a result, the inside of Jaran Bay was found to be a more suitable habitat than the outside with a wide entrance and rapid hydrodynamics. Oyster production and HSI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0.710, p<0.05). Hydrodynamics helps the growth of aquaculture organisms, such as food supply through seawater exchange in the bay, which showed a high correlation (0.709, p<0.05) with oyster production. It was found to have a greater effect on habitat suitability than Chl.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helpful for the efficient conservation, use and management of coastal fisheries.

목차
1. 서 론
2. 재료 및 방법
    2.1 연구지역 및 방법
    2.2 HSI 평가
3. 결과 및 고찰
    3.1 자란만 환경 특성
    3.2 서식지 적합지수 변수 설정
    3.3 굴 양식어장 적지평가 및 검증
4. 결 론
사 사
저자
  • 최용현(국립수산과학원 해양환경연구과 연구원) | Yong-Hyeon Choi (Scientific Researcher, Marine Environment Research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Fisheries Science, Busan 46083, Korea)
  • 홍석진(국립수산과학원 해양환경연구과 연구사) | Sok Jin Hong (Scientific Officer, Marine Environment Research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Fisheries Science, Busan 46083, Korea)
  • 이대인(국립수산과학원 해양환경연구과 연구관) | Dae In Lee (Senior Scientific Officer, Marine Environment Research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Fisheries Science, Busan 46083, Korea)
  • 이원찬(국립수산과학원 해양환경연구과 과장) | Won Chan Lee (Director, Marine Environment Research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Fisheries Science, Busan 46083, Korea)
  • 전승렬(국립수산과학원 갯벌연구센터 연구원) | Seung Ryul Zeon (Scientific Researcher, Tidal Flat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Fisheries Science, Gunsan 54001, Korea)
  • 조윤식(국립수산과학원 해양환경연구과 연구사) | Yoon-Sik Cho (Scientific Officer, Marine Environment Research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Fisheries Science, Busan 46083, Korea)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