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고령자의 사회적 건강 변화궤적에 대한 잠재계층분류와 예측요인: 성장혼합모형(Growth Mixture Model)을 중심으로 KCI 등재

Latent Classification and Prediction Factors for Change in Older Adults’ Social Health Trajectory: Focusing on the Growth Mixed Model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634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900원
대한작업치료학회지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대한작업치료학회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초록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Coronavirys Disease(COVID-19) 팬데믹을 거친 고령자의 사회적 건강의 수준의 변화궤적에 대한 잠재계층을 분류하고 잠재 계층별 특성을 분석함에 있다. 또한 이러한 사회적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을 파악하여 고령자의 사회적 건강을 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국내 고령자의 사회적 친밀도에 따른 사회적 건강 유형을 파악하기 위해서 한국복지패널의 3 년차 종단자료를 토대로 분석하였으며, 연구대상자는 세 시점 모두를 응답한 2845명의 고령자를 대상으 로 하였다. 대상자중심접근인 성장혼합모형(Growth Mixture Model; GMM)을 적용하여 변화궤적에 따 른 잠재계층을 분석 하였고, 도출된 각 잠재유형별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χ2 분석, 분산분석을 실시하 였으며, 계층 간 차이를 유발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GMM 적용결과, 사회적 건강의 변화궤적에 대한 잠재계층은 최종 4개의 집단으로 저수준 감소-증 가 집단, 중수준 유지-증가 집단, 고수준-감소 집단, 고수준 유지’집단으로 분류되었다. 또한 사회적 건강 수준에 따라 여가만족도에서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드러났으며, 그 외에도 연령 차이가 존재하였 다. 잠재계층분류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변인을 검증한 결과, 특히 여성일수록, 종교를 가지고 있을수록, 여가만족도와 전반적 만족도가 모두 높을수록 고수준 유지 집단에 속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국내 고령자의 사회적 건강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하는 궤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변화 궤적에 따라 4개의 집단으로 구분 지을 수 있으며, 각 잠재 유형별 연령과 여가 만족도 부분에서 집단별 차이가 드러났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latent classes for a change in trajectory of the level of social health of older adults who have gone through the COVID-19 pandemic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lass, thereby identifying predictive factors affecting the social health of older adults. Methods: To analyze the types of changes in the trajectory of the level of social health, Korean Welfare Panel Study (KOWEPS) data (2019~2021) was used.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845 older adults who responded at all three time points. The Growth Mixed Model (GMM), which is a subject-centered approach, was applied to analyze the latent classes. In addition, χ2 and ANOVA were conducte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each latent type, and a multinominal logistic regression was applied to analyze the influencing factors between classes. Results: As the results of applying GMM indicate, the latent classes for the changes in trajectory of social health wer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a low level decrease-increase group, a medium level maintenance-increase group, a high level decrease group, and a high level maintenance group. There was a difference in leisure satisfaction and demographic between classes. In terms of the influencing variables, it was analyzed that the greater the number of women, the more religious the individuals, and the higher their leisure and overall life satisfaction, the higher their probability of belonging to a high level maintenance group. Conclusion: By applying GMM, this study identified the latent class of the changes in trajectory of the social health level of older adults,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leisur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various types. In addition, the influencing factors that distinguish social health were also analyz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1. 연구 대상
    2. 측정 도구
    3. 분석방법
Ⅲ. 연구 결과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사회적 건강의 변화 궤적 추정
    3. 사회적 건강의 변화도에 따른 잠재집단 분류
    4. 사회적 건강 잠재집단의 변화궤적의특성과 집단의 명명화
    5. 사회적 건강 잠재집단의 특성
    6. 개인의 사회적 건강 잠재집단에 영향을미치는 요인
Ⅳ. 고 찰
Ⅴ. 결 론
저자
  • 박강현(백석대학교 보건학부 작업치료학과 조교수) | Park Kang-Hyun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Baekseok University, Assistant Professor)
  • 이은영(원광대학교 의과대학 뇌과학연구소, 박사후연구원) | Lee Eun-Young (Department of Rehabilitation Medicine and Institute of Brain Science Research, Wonkwang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Post-Doctor)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