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the Level of Use of Information Devices in the Elderly on Life Satisfaction –Analysis of the mediating effect of self-integration-
오늘날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정보매체가 다양해지고 정보 가 유통되는 속도 또한 빨라지고 있지만, 노인 등의 정보취약 계층에게는 정보를 습득하는 것이 더욱 어려워지고 있다. 이러 한 노년층의 정보격차는 또 다른 형태의 삶의 격차를 야기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노인의 정보화기기 활용 수준을 파악하고 초 급, 중급, 고급 등 노인의 정보화기기 활용 수준이 삶의 만족도 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인 연구의 방향과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정보화기기 활용수준별(초급, 중급, 고급)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 및 자아통합감의 매개효과 등 정보화기기 활 용수준이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 였다. 둘째, 도시와 농촌 등 거주지역별 노인의 정보화기기 활용 수준에 따른 자아통합감, 노인의 삶의 만족도의 차이를 알아보 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 및 도시지역 그리고 경기 도 포천의 읍면지역에 거주하는 60세 이상의 노인 320명을 대 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성실한 설문 응답지 250부를 선 택하여 정보화기기 활용 수준별 자아통합감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확인하였다. 첫째, 정보화기기 활용수준이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구조모형의 평가를 실시한 바, 정보화기기 활용 수준 초급, 중급, 고급 모두 자아통합감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보화기기 활용수준 초급에서는 노인의 삶의 만족도 에 의미있는 영향이 없었지만 중급, 상급에서는 노인의 삶의 만족도를 더욱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아통합감이 높으면 노인의 삶의 만족도 역시 높아지 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정보화기기 활용수준이 초급수준일수록 자아통합감이 높아지는 정도는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노인들이 도시지역에 거 주하는 노인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정보화기기 활용수준이 고급 수준일수록 자아통합감 이 높아지는 정도는 도시지역에 거주하는 노인들이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노인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첫째, 지속가능한 노인의 정보화 교육을 위해서 노인이 쉽게 이해하고 다가갈 수 있는 정보제공 및 정보화기기 활용교육 활 성화 방안이 필요함을 알게 되었다. 둘째, 노인 집단의 다양성을 반영한 다각적인 측면에서의 자 아통합감, 삶의 만족도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정보화기기 활용 수준에 따른 맞춤형 교육이 필요함을 알게 되었다. 셋째 노인 세대의 정보 활용에 대한 적극적인 관심이 필요하 고 그동안 노인층들이 정보격차가 큰 것은 최근에 나타난 정보 화기기를 노인들이 배우거나 활용할 기회가 없었던 것이지 노 인들은 원래 정보화기기를 사용할 수 없는 사람들이 아니었음 을 인식해야 함을 알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노년층 정보화 교육은 농촌, 도시의 환경과 특성 을 고려한 다양한 지역자원과의 협력과 다양한 인력 활용 운영 방안이 필요함을 알게 되었다.
Today,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nformation media is diversifying and the speed at which information is distributed is also accelerating, but it is becoming more difficult for information vulnerable groups such as the elderly. This digital divide among the elderly is causing another form of life gap. Accordingly,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the level of the elderly's use of information devices and analyze the effect of the elderly's use of information devices on life satisfaction (an analysis of the mediating effect of self-integration). The purpose of the specific study is as follows. First, it was intended to find out the impact of the level of use of information devices on the elderly's life satisfaction, such a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use of information devices (beginner, intermediate, and advanced) an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integration. Second, it was intended to find out differences in digital literacy such as whether the elderly have and use information devices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igital literacy. Third, we would like to find out the difference in self-integration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according to the level of use of information devices by residential areas such as cities and rural areas. To achieve this goal, a survey was conducted on 280 men and women aged 65 or older living in Seoul, urban areas, Gyeonggi-do, and eup and myeon areas across the country,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confirm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mpact on self-integration and life satisfaction by level of information device use. First, a structural model was evaluated to find out the effect of the level of use of information devices on self-integration, and it was found that the level of use of information devices improved self-integration.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satisfaction of the elderly's lives in the beginner level of information device utilization, but in the intermediate and upper levels, the life of the elderly was not significantly affected It has been shown to improve satisfaction. Third, it was found that high self-integration also increased th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in life. Fourth, the higher the level of use of information devices at the beginner level, the higher the degree of self-integration was compared to that of the elderly living in rural areas. Fifth, the higher the level of information utilization, the higher the degree of self-integration was found to be relatively higher for the elderly living in urban areas than for the elderly living in rural areas. Based on these findings First, for sustainable information education for the elderly, information provision that the elderly can easily understand and approach, and ways to revitalize education using information devices, Second, measures to improve the level of use of information devices to increase self-integration and life satisfaction in various aspects reflecting the diversity of the elderly group, Third, active interest in the use of information by the elderly generation, willingness to learn, and ways to change perceptions, Finally, information education for the elderly proposed cooperation with various local resources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rural and urban areas and the direction of operation using various manpow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