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청소년의 온라인 활용에서 부모의 적극적 중재, 디지털 리터러시, 온라인 기회, 자기조절 등에 미치는 영향 분석 KCI 등재

Analysis of the Impact on Parents' Active Intervention, Digital literacy, Online Opportunities, and Self-Regulation in Youth's Online Us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741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100원
한국과 국제사회 (Korea and Global Affairs)
한국정치사회연구소 (Korea Institute of Politics and Society)
초록

본 연구는 청소년의 온라인 활용에서 부모의 적극적 중재, 디지털 리터러시, 온라인 기회, 그리고 자기조절 등에 미치는 영향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 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2022년 2월 26일부터 3월 12 일까지 2주 동안 인스타그램을 통한 온라인 설문조사를 활용하여 수집하였으며, 응답한 469부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을 위해서 SPSS와 Smart PLS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부모의 적극적 중 재는 디지털 리터러시, 온라인 기회, 자기조절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디지털 리터러시는 온라인 기회, 자기조절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 났으며, 자기조절은 온라인 기회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부모의 적극적 중재와 온라인 기회의 관계에서 디지털 리터러시, 자기조절의 경로가 매 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시사점은 부모 중재와 온라인 기회 관계에 있어 디지털 리터러시와 청소년의 자기조절 능력이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 펴본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impact on parents' active intervention, digital literacy, online opportunities, and self-regulation in the online use of adolescent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in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utilizing an online questionnaire survey conducted with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rough Instagram for two weeks from February 26 to March 12, 2022. Out of 531 copies of questionnaire collected with responses, 469 copies, were used to conduct an empirical analysis. SPSS and SmartPLS programs were used for the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active parental intervention is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digital literacy, online oportunities, and self-regulation. Second, digital literacy is found to increase online opportunities and self-regulation and self-regulation is found to increase online opportunities. Final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ctive parental intervention and online opportunities, the pathways of digital literacy and self-regulation were found to have mediating effect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부모 중재의 선행연구
    2. 디지털 리터러시의 선행연구
    3. 자기조절의 선행연구
    4. 온라인 기회의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
    1. 연구모형
    2. 연구가설
    3. 조작적 정의
    4. 설문방법
Ⅳ. 연구결과
    1. 표본의 특성과 기초통계량
    2. 측정모형의 평가
    3. 구조 모델의 평가와 가설검증
Ⅴ. 결론 및 시사점
저자
  • 나의연(숭실대학교) | Eui-Yeon Nah (Soongsil University)
  • 최정아(숭실대학교) | Jungah Choi (Soongsil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