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대안적 융합교육으로서의 마이크로디그리 적용사례와 정착 조건 KCI 등재

A Study on the Case Analysis and Settlement Conditions of Micro-Degree as an Alternative to Convergence Educa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742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100원
한국과 국제사회 (Korea and Global Affairs)
한국정치사회연구소 (Korea Institute of Politics and Society)
초록

본고는 최근 새로운 융합교육 제도의 하나로 주목받고 있는 마이크로 디그리의 기본 개념과 의미에 대해 살펴보고, 국내외 마이크로디그리 교 육과정의 적용사례를 통해 향후 마이크로디그리 교육과정이 대안적 융합 교육으로 정착하기 위한 조건과 고려해야 할 점들에 대해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최근 정부의 소단위 학위과정 인정의 근거를 살펴보고, 국내외 마이크로디그리 도입 사례에 대한 비교·분석을 실시했 다. 교육기관의 규모와 적용범위, 교육목표, 운영주체 등을 중심으로 해 외와 국내 사례를 각각 비교했다. 해외의 경우, 대학보다는 주로 기업 및 연구기관이 운영 주체가 되는 대안학교의 형태로 운영되는 반면, 국내에 서는 마이크로디그리가 대학의 전공 및 교양교육과정을 보완하는 형태로 받아들여졌다는 점에서 상이점을 찾을 수 있다. 하지만 급변하는 사회 수요를 교육과정에 바로바로 적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 마이크로디 그리의 본질을 고려한다면, 사회 수요를 신속히 교육과정에 반영해 산업 현장과 대학 교육의 거리를 근거리로 유지·지속시킬 수 있는 보다 명확 하고 독립적인 학내 전담 운영 조직의 마련도 고려될 필요가 있다. 또한 본고에서는 마이크로디그리의 도입단계와 운영단계 각각에서 고려될 필 요가 있는 네가지 지점들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대안적 융 합교육으로서 마이크로디그리의 도입과 정착에 필요한 조건은 무엇인지 가늠해 보았다.

This study recently identified the basic concept and meaning of Micro-Degree, which has attracted attention as a new convergence education system. First, we investigated how the Micro-Degree curriculum is applied at home and abroad. And in the future, we investigated the conditions necessary for Micro- Degree to become an alternative to convergence education. To that end, we compared and analyzed domestic and international cases of Micro-Degree introduction. Each case was compared, focusing on the size and target of the educational institution, educational goals, and operating organization. Micro-Degree have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apply rapidly changing social demands directly to the curriculum.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reate an independent dedicated organization to maintain and sustain the distance between industrial sites and university education. In this study, four necessary steps were presented, respectively, in the introduction and operation stages of Micro- Degree. Through it, the study suggested what it takes for Micro-Degree to settle down as an alternative to convergence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마이크로디그리의 정의와 교육적 가치
    1. 마이크로디그리 교육의 취지와 목적
    2. 마이크로디그리의 교육적 가치
Ⅲ. 마이크로디그리 교육과정 적용사례와 새로운 융합교육으로서의 정착 조건
    1. 마이크로디그리의 국내외 적용사례
    2. 마이크로디그리 교육과정의 정착 조건과 지향점
Ⅳ. 결론
저자
  • 조석연(신한대학교) | Seokyeon Cho (Shinhan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