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식물구계학적 특정종 분류에 관한 고찰 - 식물구계의 역리 - KCI 등재

Discussion on the Classification of Floristic Target Species - An Ecological Paradox of Floristic Regions -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744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초록

식물구계학적 특정종은 식물상 정보를 이용한 지역환경을 평가하는 주요 수단이며, 종의 선정과 평가는 식물구계 정보에 의거해서 이루어진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식물구계에 대해 학술적 진의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식물구계 관련 핵심문헌 7편을 검토하였으며, 식물구계 적용 근거를 비교 검증하였다. 1919년의 Nakai 울릉도 식물상 조사보고서는 식물구계에 관련한 일반적인 지리구분(지방)을 처음으로 기재했다. Oh는 1977년에 한국의 유관속식물에 대한 식물지리구계도를 처음으로 제시하였 다. 1978년에는 Lee & Yim이 중부와 남부를 가르는 구계도를 제시했고, 그 밖에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식물구계 경계는 조정되고 개정되었다. 마침내 2018년에는 Lee & Yim (1978)에서 변형된 식물구계학적 특정종의 식물구계도가 채택되었다. 그런데 이러한 식물구계들은 연구자 간에 차이가 있었고, 구계 지표 식물의 불일치성도 확인되었다. 그럼에도 그런 상이성에 대한 근거는 찾을 수 없었다. 결론적으로 도식화된 모든 식물구계도는 선험적으로 그은 임의 선에 의존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식물구계학적 특정종이 환경영향평가 및 국가 식물상 평가를 위한 과학적 수단으로서 그 실효성과 실체성을 확보하기 위해 다음의 두 가지 생태학적 전략을 제안했다 : 종분포 고유성(nativeness) 정보를 바탕으로 하는 식물상 및 식물구계의 성취와 서식처 기반(habitat-based) 식물상 장기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축.

The floristic target species (FTS) has been widely used as a important tool for environmental assessment in Korea. Here the floristic district is a key criterion for the selection and evaluation of FT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intellectual meaning of the floristic district i.e. a sort of phytogeographical subunit. We reviewed 7 main literatures related to the floristic district. Nakai’s 1919 Ulleungdo flora survey report was first to mention a region and/or province in terms of general geographical divisions. In 1977, the floristic district map of the Korea vascular plants was first described by Oh. In 1978, Lee & Yim proposed a new floristic district map dividing the central and southern regions, and the district boundaries have been adjusted by many other researchers. In the end, the floristic district map modified slightly from Lee & Yim’s map was nationally recognized in 2018. However, the boundaries of floristic districts were inconsistent, both in their setting and adjustment, as well as the indicator species of the district. No basis for this inconsistency could be confirmed. We concluded that all district maps depend on arbitrary lines drawn a priori, and finally proposed the following two ecological strategies to ensure the effectiveness and practicality of the FTS as a scientific means for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and national flora evaluation: (i) designing to achieve the flora list and the floristic district based on nativeness of plant distribution, (ii) constructing a habitat-based floral monitoring system.

목차
서 론
연구방법
결과
    1. ‘북부’와 ‘중부’ 식물구계의 경계 기준
    2. ‘중부’와 ‘남부’ 식물구계의 경계 기준
    3. ‘남부’와 ‘남해안’ 식물구계의 경계 기준
    4. ‘제주도’와 ‘울릉도’ 식물구계의 경계 기준
고찰
    1. <식물구계학적 특정종>의 비전퀘스트
저자
  • 김종원((주)서식처생태학과식물사회학연구소 수석연구원) | Jong-Won Kim (IHEP, Daegu 42900, Korea)
  • 엄병철((주)서식처생태학과식물사회학연구소 책임연구원) | Byeongcheol Eom (IHEP, Daegu 42900, Korea)
  • 박정석(국립수목원 정원식물자원과 석사연구원) | Jeong-Seok Park (Grarden and Plant Resources Division,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11186, Korea)
  • 김윤하(국립수목원 전시교육연구과 석사연구원) | Yun-Ha Kim (Gardens and Education Research Division,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11186, Korea)
  • 최병기(국립산림과학원 산림환경보전연구부 임업연구사) | Byoung-Ki Choi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Seoul 02455, Korea)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