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동해 식물플랑크톤 군집에 대한 초미소 식물플랑크톤(< 2 ㎛) 기여도 장기 경향성 연구 KCI 등재

Long-Term Trend of Picophytoplankton Contribution to the Phytoplankton Community in the East S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758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해양환경안전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and Safety)
해양환경안전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초록

본 연구는 2003년부터 2022년까지 동해 남서부 해역에서 초미소(0.2-2 ㎛) 식물플랑크톤의 군집, 표층 수온 상승, 그리고 무기 영양염 간의 복잡한 상호작용을 다루었다. 동해에서 관측된 표층 수온의 상승 추세는 전 지구규모의 수온 상승과 일치하며, 여름에는 최 대 온도가 나타나지만 봄에는 최소 온도를 보여 일반적인 온대해역의 계절적 수온 변동과는 다른 양상을 보였다. 표층 무기 영양염의 농 도는 겨울에 증가하며 봄을 거치면서 서서히 감소하는 계절적 변동성을 나타냈다. 식물플랑크톤의 생물량을 대표하는 표층 총 chlorophyll-a 농도는 온대 해역의 전형적인 쌍봉분포(bimodal distribution) 양상을 보였다. 연구 기간 동안 초미소 식물플랑크톤의 기여도는 연평균 0.5%씩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나, 총 chlorophyll-a 농도는 약한 감소 추세를 보였다. 초미소 식물플랑크톤의 기여도와 영양염 간에 는 강한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이는 이러한 변동이 식물플랑크톤의 크기별 영양염의 가용성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이 러한 분석 결과는 해양 생태계의 변화 조건에서 식물플랑크톤이 어떻게 반응할는지 예측 가능하게 하므로, 생태학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In thi study, we unveil the intricate interplay among picophytoplankton (0.22 μm) communities, warming surface water temperatures, and major inorganic nutrients within the southwestern East Sea from 20032022. The observed surface temperature rise, reflecting global climate trends, defies conventional seasonal patterns in temperate seas, with highest temperatures in summer and lowest in spring. Concurrently, concentrations of major dissolved inorganic nutrient display distinct seasonality, with peaks in winter and gradually declining thereafter during spring. The time course of chlorophylla concentrations, a proxy for phytoplankton biomass, reveals a typical bimodal pattern for temperate seas. Notably, contributions from picophytoplankton exhibited a steady annual increase of approximately 0.5% over the study period, although the total chlorophylla concentrations declined slightly. The strong correlations between picophytoplankton contributions and inorganic nutrient concentrations is noteworthy, highlighting their competitively advantageous responsiveness to the shifting nutrient regime. These findings reflect significant ecological implications for the scientific insights into the marine ecosystem responses to changing climate conditions.

목차
1. 서 론
2. 재료 및 방법
    2.1 표층 수온 및 무기 영양염
    2.1 현장 chlorophyll-a 농도 측정
    2.3 위성 자료
    2.4 통계 분석
3. 결 과
    3.1 표층 수온 및 영양염의 장기변동
    3.2 표층 chlorophyll-a 농도 및 초미소 식물플랑크톤 기여도의 장기변동
4. 고 찰
    4.1 표층 수온 및 영양염의 장기변동
    4.2 표층 chlorophyll-a 농도 및 초미소 식물플랑크톤 기여도의 장기 변동
5. 결 론
사 사
저자
  • 장효근(부산대학교 해양연구소 연수연구원) | Hyo Keun Jang (Postdoctoral researcher, Marine Research Institute,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46241, Korea)
  • 이다빈(부산대학교 해양연구소 연수연구원) | Dabin Lee (Postdoctoral researcher, Marine Research Institute,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46241, Korea)
  • 이상헌(부산대학교 해양학과 교수) | Sang Heon Lee (Professor, Department of Oceanography and Marine Research Institute,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46241, Korea)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