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태풍 곤파스와 솔릭 전과 후의 고창 동호리 사질 조간대 표층 퇴적물과 집적률 특성 KCI 등재

Characteristics of Surface Sediments and Accumulation before and after the Typhoon Kompasu and Soulik in the Gochang Donghori Sandy Intertidal Flat,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769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200원
한국지구과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한국지구과학회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초록

Typhoon effects on macrotide open-coast intertidal sediments were investigated in the Gochang Donghori sandy intertidal flat on the Korean western coast. Variations in the surface sediment texture, accumulation, and sedimentary facies were observed before and after Typhoons Kompasu in 2010 and Soulik in 2018. Two typhoons, Kompasu and Soulik, landed on the southwestern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and passed inland between September 1st and 2nd, 2010, and August 23rd and 24th, 2018, respectively. Surface sediments and their accumulation before and after the typhoon were sampled and measured at intervals of 30 m along a survey line on the Donghori intertidal flat. The intertidal area was divided into high, middle, and lower tidal zones based on the mean high, mean sea, and mean low water levels, respectively. Surface accumulation represents deposition in the upper tidal zone and erosion in the middle and lower tidal zones following both typhoons. The accumulation decreased from the high to the lower tidal zones. Regarding the surface sediment texture of the high tidal zone, the mean grain size, fines, and sorting improved after both typhoons. The surface sediment texture of the middle tidal zone showed rare variations and band-shaped deposits appeared at some lower tidal zone intervals.

대조차 개방형 조간대 퇴적물에 대한 태풍 효과를 한국 서해안 고창 동호리 조간대에서 연구하였다. 2010년 태 풍 곤파스 전·후와 2018년 솔릭 전·후에 나타난 표층 퇴적물 조직, 집적률, 퇴적상 변화를 관측하였다. 두 개의 태풍 곤파스와 솔릭은 각각 2010년 9월 1일과 2일, 2018년 8월 23일과 24일 사이에 한반도 남서부 연안에 상륙하여 내륙을 관통하였다. 태풍 곤파스 전·후와 솔릭 전·후에 고창 동호리 조간대의 측선을 따라 30m 간격으로 표층 퇴적물을 채취 하고 집적률을 측정하였다. 동호리 조간대를 평균고조면, 평균해수면, 평균저조면을 기준으로 고조대, 중조대, 저조대로 세분하여 연구하였다. 두 태풍 모두 태풍 후에 고조대는 퇴적되었고 중조대와 저조대는 침식되었다. 고조대에서 저조대 방향으로 갈수록 집적률이 감소하였다. 고조대의 표층 퇴적물 조직은 두 태풍 모두 태풍 후에 평균 입도는 세립해지고 분급은 양호해졌다. 중조대의 표층 퇴적물 조직은 변화가 거의 없었으며, 저조대는 일부 구간에서 태풍 후에 띠 형태의 퇴적체가 나타났다.

목차
서 론
지역 개관
태풍 전·후 조석과 파랑 특성
    태풍 곤파스
    태풍 솔릭
    조석과 파랑의 특성
연구 방법
연구 결과
    조간대의 구분과 집적률의 변화
    태풍 전·후 표층 퇴적물의 조직과 분포
토 의
결 론
사 사
저자
  • 강솔잎(전북대학교 과학교육학부/과학교육연구소, 54896,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백제대로 567) | Sol Ip Kang (Division of Science Education and Institute of Science Education, Je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54896, Korea)
  • 양우헌(전북대학교 과학교육학부/과학교육연구소, 54896,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백제대로 567) | Woo Hun Ryang (Division of Science Education and Institute of Science Education, Je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54896, Korea)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