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대한해협 해저사퇴 심부코어 SSDP-101의 퇴적상과 퇴적환경 KCI 등재

Sedimentary Facies and Environments of the SSDP-101 Long-core in a Submarine Sand Ridge in the Korea Strai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769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600원
한국지구과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한국지구과학회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초록

A long core SSDP-101 of 77 m in a submarine sand ridge on the Korea Strait shelf was studied to understand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sand ridge. The long core was drilled at 128o16.335'N in latitude and 34o19.666'E in longitude (WGS-84) on the top of the sand ridge of 60-m water depth. Marine geological analyses of the SSDP-101 long-core samples can reveal the changing sedimentary environments in the Korea Strait Shelf caused by relative sea-level changes during the late Quaternary. The lower parts of the core samples were interpreted as episodic stream-flooding sediments occurring in an estuarine environment. The sand ridge of the study area formed when the relative sea level was lower than the present sea level, and the sand ridge sediments were winnowed by the relative sea level rise. The submarine sand ridge in the modern shelf is interpreted that the sand ridge of the lower sea level has remained to the present higher sea level.

대한해협 대륙붕 해저사퇴의 형성과정을 이해하기 위해 77m 심도 심부 SSDP-101 코어를 연구하였다. 이 심부 코어는 WGS 측지계 기준으로 북위 128도 16.335분, 동경 34도 19.666분에 위치한 수심 60m의 사퇴 정상부에서 시추 하였다. SSDP-101 코어 시료의 해양지질학적 분석은 제4기 후기 상대 해수면 변화에 의해 야기된 대한해협 대륙붕 퇴 적환경의 변화를 밝혔다. 하부 코어 퇴적층은 간헐적 하천 범람이 일어나는 염하구 환경에서 형성된 것으로 해석되었다. 연구 지역의 사퇴는 상대해수면이 현재보다 더 낮은 시기에 형성되었고, 사퇴 퇴적물은 상대해수면이 상승함에 따라 키 질작용을 받았다. 현재 대륙붕의 해저사퇴는 해수면이 낮았던 시기의 해저사퇴가 현재 해수면 환경까지 잔존된 결과로 해석된다.

목차
서 론
연구 지역, 자료 및 방법
결 과
    구간별 퇴적상
    구간별 퇴적과정과 고환경
토 의
결 론
사 사
저자
  • 양우헌(전북대학교 과학교육학부/과학교육연구소, 54896,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백제대로 567) | Woo-Hun Ryang (Division of Science Education and Institute of Science Education, Je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54896, Korea) Corresponding Author
  • 김성필(한국지질자원연구원 해저지질에너지연구본부, 34132, 대전광역시 유성구 과학로 124) | Seong-Pil Kim (Marine Geology & Energy Research Divis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ing Resources (KIGAM), Daejeon 34132,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