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예비 지구과학 교사의 선다형 문항 제작 과정에 나타난 논의의 특징: 구성주의 근거 이론 접근 KCI 등재

Characteristics of Discussion in the Process of Creating Multiple Choice Items by Preservice Earth Science Teachers: A Constructivist Grounded Theory Inquir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770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400원
한국지구과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한국지구과학회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developmental aspects of assessment literacy revealed through the process of participating in an interactive practice program that creates multiple choice items for preservice Earth science teachers. To this end, w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discussions with 15 preservice teacher’. Based on constructivist grounded theory, we derived 36 categories from the initial coding, 12 categories from the focused coding, and 5 categories from the theoretical coding. We set the discursive culture and perspective on items on the two axes and then constructed four analytical stories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refore, three stories were organized under the theme of solving the examinee’s items, taking careful steps, and deepening discourse. In addition, it was described as a fourth story about an unreached journey that failed to reach the limitations of the ability to make items consistently reveal items during the program. A assessment literacy in the practice program was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preservice teachers’ identities, and the effects and significance of the program applied in this study and implications for its improvement were discussed.

이 연구의 목적은 예비 지구과학 교사들이 선다형 문항 제작 실습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과정에서 드러나는 문 항 제작 역량의 발달 양상을 이해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예비 지구과학 교사 15명이 선다형 문항 제작 과정 중 공동 검토 과정에서 나타나는 논의에 초점을 맞춰 그 특징을 분석하였다. 구성주의 근거 이론을 토대로 3단계의 코딩을 수 행한 결과, 36개의 초기 코드, 12개의 초점 코드, 5개의 이론적 코드가 도출되었다. 코딩 범주에 근거하여 논의의 특징 을 규정하는 검토 문화와 문항에 대한 관점을 두 축으로 설정하였으며, 이로부터 수험생의 문제풀이, 조심스레 한 걸음 떼기, 짙어지는 담화를 주제로 하는 세 가지 이야기를 구성하였다. 또한 프로그램 동안 일관되게 드러나는 문항 제작 역량의 한계를 다다르지 못한 노정에 대한 네 번째 이야기로 서술하였다. 문항 제작 과정에서 드러나는 평가 전문성은 예비교사의 정체성 발달과 관련되어 있으며, 본 연구에서 적용한 개발한 프로그램의 효과와 의의 및 프로그램의 개발과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목차
서 론
연구 방법 및 절차
연구 결과
    문항 제작 과정의 질적 분석 결과로써 코딩 범주
    코딩 범주의 재구조화를 통한 예비교사들의 문항제작 과정 이야기
결론 및 제언
사 사
저자
  • 안유민(공주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32588, 충청남도 공주시 공주대학로 56) | Yumin Ahn (Department of Earth Science Education, Kongju National University, Chungcheongnam-do 32588, Korea) Corresponding Author
  • 이종진(공주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32588, 충청남도 공주시 공주대학로 56, 대전동신과학고등학교, 34500, 대전광역시 동구 옥천로 423) | Jong-Jin Lee (Department of Earth Science Education, Kongju National University, Chungcheongnam-do 32588, Korea, Daejeon Dongsin Science High School, Daejeon 34500,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