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영덕단층 북부의 기하와 운동학적 특성 KCI 등재

Geometry and Kinematics of the Northern Part of Yeongdeok Faul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8042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광물과 암석 (Korean Journal of Mineralogy and Petrology)
한국광물학회 (The Mineralogical Society Off Korea)
초록

이번 연구는 영덕단층 일원을 대상으로 실시된 상세 지표지질조사에서 수집된 다양한 구조요소들의 기 하와 운동학적 자료 그리고 단층암의 대자율이방성 분석 자료를 바탕으로 영덕단층의 내부구조 그리고 기하와 운동학적 특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영덕단층은 영덕군 강구면 오포리에서 울진군 매화면 길곡리와 기성면 방 율리까지 연장되며, 4.6-5.0 km (평균 4.77 km)의 우수향 수평변위로 고원생대부터 중생대에 이르는 다양한 암 종을 절단하거나 암상경계를 이룬다. 영덕단층은 4개의 기하학적 분절로 구분되며, 대부분 노두에서 남-북 내 지 북북서 주향에 54° 이상 고각으로 동쪽으로 경사지고 있으나 북쪽으로 갈수록 서쪽으로 54°-82° 경사지는 노두가 증가한다. 영덕단층은 모암의 암종에 따라 0.3-15 m 범위의 다양한 폭을 가진 단층핵과 단층대 내부구 조의 차이를 보이는데, 이는 모암의 연성도, 구성광물, 입자크기, 이방성과 같은 물성 차이에 기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번 연구에서 새롭게 도출한 고응력장 및 대자율이방성 분석 결과와 기존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영 덕단층은 (1) 백악기말~신생대초에 북서-남동 최대수평응력(σHmax)과 북동-남서 최소수평응력(σHmin) 하에서 좌 수향 주향이동운동을 겪은 이후, (2) 신생대 고진기에 북동-남서 최대수평응력과 북서-남동 최소수평응력 하에 서 우수향 주향이동운동을 겪었음을 지시한다. 이중 고진기에 발생한 우수향 주향이동운동에 의한 변형이 가장 우세하였으며 이후 지각변형은 미미하였던 것으로 해석된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fault zone architecture and geometric and kinematic characteristics of the Yeongdeok Fault, based on the geometry and kinematic data of various structural elements obtained by detailed field survey and anisotropy of magnetic susceptibility (AMS) of the fault rocks. The Yeongdeok Fault extends from Opo-ri, Ganggu-myeon, Yeongdeok-gun to Gilgok-ri, Maehwamyeon and Bangyul-ri, Giseong-myeon, Uljin-gun, and cuts various rock types from the Paleo-proterozoic to the Mesozoic with a range of 4.6-5.0 km (4.77 km in average) of right-lateral offset or forms the rock boundaries. The fault is divided into four segments based on its geometric features and shows N-S to NNW strikes and dips of an angle of ≥ 54° to the east at most outcrops, even though the outcrops showing the westward dipping (a range of 54°-82°) of fault surface increase as it goes north. The Yeongdeok Fault shows the difference in the fault zone architecture and in the fault core width ranging from 0.3 to 15 m depending on the bedrock type, which is interpreted as due to differences in the physical properties of bedrock such as ductility, mineral composition, particle size, and anisotropy. Combining the results of paleostress reconstruction and AMS in this and previous studies, the Yeongdeok Fault experienced (1) sinistral strike-slip under NW-SE maximum horizontal principle stress (σHmax) and NE-SW minimum horizontal principle stress (σHmin) in the late Cretaceous to early Cenozoic, and then (2) dextral strike-slip under NE-SW maximum horizontal principle stress (σHmax) and NW-SE minimum horizontal principle stress (σHmin) in the Paleogene. It is interpreted that the deformation caused by the Paleogene dextral strike-slip movement was the most dominant, and the crustal deformation was insignificant thereafter.

목차
영덕단층 북부의 기하와 운동학적 특성
    요약
    Abstract
    서언
    지질학적 배경
    지질구조특성
    영덕단층의 운동학적 특성
    토의
    영덕단층의 분포와 기하
    영덕단층의 운동학적 특성
    영덕단층의 단층대 내부구조 특성
    결론
    사 사
저자
  • 김광연(부산대학교 지질환경과학과) | Gwangyeon Kim (Department of Geological Sciences,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46241, Korea)
  • 하상민(부산대학교 지질환경과학과) | Sangmin Ha (Department of Geological Sciences,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46241, Korea)
  • 이성준(부산대학교 지질환경과학과) | Seongjun Lee (Department of Geological Sciences,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46241, Korea)
  • 임보성(부산대학교 지질환경과학과) | Boseong Lim (Department of Geological Sciences,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46241, Korea)
  • 김민철(부산대학교 지질환경과학과) | Min-Cheol Kim (Department of Geological Sciences,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46241, Korea)
  • 손문(부산대학교 지질환경과학과) | Moon Son (Department of Geological Sciences,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46241, Korea) Corresponding author